
모든 기자에게 적용되는 말은 아니지만 정말로 사명감에 불타는 기자라면 사건사고의 현장을 경찰, 검찰보다 더 열심히 조사하고 자신의 판단을 추가하여 글로 써 올리고 화면으로 편집하여 보도국에 넘기게 됩니다. 검찰과 경찰, 소방은 담당이 정해지고 관할 구역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언론사에도 담당 파트와 출입처가 있습니다만 그것은 형식적인 구분이고 자신의 취재구역이나 영역이 확고부동하게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검경이나 일반 공무원은 관할과 사무분장을 따지는데 최선을 다하지만 기자는 경쟁적으로 사건사고 현장에 달려갈 수 있습니다.
공직사회에서는 업무분장으로 갈등이 일어납니다만 언론인들은 일단 취재한 후 편집회의에서 조율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좀 더 팩트에 가깝게 접근하고자 노력합니다.
이것은 마치 119 소방서장 관할의 화재 신고시에 6~8개 파출소의 소방차가 일단 출동을 하고 현장상황을 보면서 진화 인력과 장비를 화재 정도에 맞춰가는 방식과도 같습니다. 화재상황을 종합하는 간부를 '진압대장'이라고 부른다면 언론사 부장은 이른바 데스크를 보면서 취재상황을 종합, 조절하는 야전사령부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기사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려고 하면 처음부터 부장, 차장에게 접근하기보다는 취재기자와 협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취재기자가 취재한 내용을 아직 부장에게 보고하기 전이라면 스스로 기사진행을 중단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 회사에 대한 취재 사실조차 모르고 있는 부장이나 간부에게 먼저 기사를 빼달라 부탁하는 이상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언론인이 취재한 기사를 원위치로 돌리기는 어렵습니다. 지방의회 의원들이 집행부에 힘이 먹히는 사안을 확보하면 최소 5번 정도 재활용합니다. 상임위원회에서 말하고 언론에 보도자료로 제공하고 본회의장에서 발언합니다. 마찬가지로 기자가 어렵게 취재한 기사꺼리를 그냥 버리지 못합니다.
그래서 국익을 위해 엄청난 기사를 버리는 기자가 많은 나라,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친 병사의 시신을 끝까지 찾아내 조국의 묘지에 모시는 나라가 선진국입니다.
언론은 그래서 중요한 사회적 공기능입니다. 언론인이 애국심과 사명감에 불타고 정의를 위해 부정과 부패에 타협하지 않는 그런 나라가 정의로운 국가입니다. 언론인은 나라를 구하기도 하고 국가를 멸하기도 합니다.
최고의 언론인이라면 이 기사가 나라를 흔들지는 않을까 고민해야 합니다. 비판하고 밝히는 일이 언론의 기능이라는 점에 동의하지만 국가와 국민을 먼저 걱정하는 선진국형 언론인이 되어 주시기를 소원합니다.
[저자 약력]
-1958년 화성 비봉 출생
-경기도청 홍보팀장, 공보과장
-동두천·오산·남양주시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경기도민회장학회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