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릉과 원주가 강원도, 충주와 청주가 충청도, 전주와 나주가 전라도, 그리고 경주와 상주가 경상도라 작명 되었다. 경상북도 상주군 공무원들이 상주가 되어 상복을 입고 근무를 한다는 기사가 관심을 끌었다. 1965년 상주군 인구가 26만5천명이었는데 2019년에 99,986명으로 10만선이 무너졌다. 그래서 상주군 공무원들이 인구 10만선을 지켜내자는 각오의 표현으로 상복을 입었다고 했다. 누구의 제안인지는 알 수 없다.
1978년 화성군청 소속 9급 공무원으로 비봉면에서 추곡수매 담당자로 일했다. 산촌 2개 마을을 담당하였으므로 논비율이 적어서 목표량을 채우지 못했다. 부면장께서 '수매 담당자로서 자신의 목표량도 채우지 못했다'는 지적했다. 어렵게 출하를 독려하여 20가마니를 받았지만 수분초과로 반품되었다. 그 벼를 2등급 가격으로 구매해서 건조하여 다음번 수매일에 검사를 받으니 3등급이 나왔다. 건조하니 2가마니가 줄었다. 그 달 월급 50,000원 중 2/3를 벼 구매와 건조비로 날렸다.
이번에는 부면장님, 재무계장님을 따라서 상주군으로 달려갔다. 지인의 소개를 받아 벼를 사와서 수매물량을 채우자는 전략이었다. 그 당시의 행정은 그랬다. 하지만 상주군 면사무소에도 정보가 들어갔는지 아침일찍 트럭을 몰고 나오자 파출소 순경이 검문을 한다. 카빈(carbine)총을 메고 나와서 우리 차를 막았다. 어제 구매한 상주곶감 8판을 들고 뒷문으로 내려 도망치듯 내달렸다. 8km를 걸어나와 기차와 버스를 타고 귀청했다.
상주벼 특공작전은 실패했지만 성공하여 한 트럭 150가마니를 실어왔다면 목표량의 0.008%를 채웠을 것이다. 공무원 개인돈 들여서 18가마니를 채워서 수매 목표량 18,532가마니의 0.001%를 채웠다. 사막은 한알 두알 모래이고 한강의 물도 한방울 두방울이다.
그래서 상주시 공무원들의 결의에 박수를 보낸다. 시민 한 분 한 분이 소중하다. 진짜 상복을 입은 심정으로, 그 초심으로 시민은 물론 외지분을 소중히 모시기 바란다. 초심으로 열과 성을 다하면 '10만 상주시'는 곧 회복될 것이다. 노조원과 6,7급 간부공무원에게 전한다. 상복은 검고 무겁다. 부정적이다. 밝은 색동옷은 가볍고 예쁘다. 희망적이다.
------
이같은 내용의 글을 경기일보에 기고하고 그 내용을 상주시청 홈페이지에 올렸는데 며칠후에 시 자문위원 자격으로 어느 교수님과 연결되었습니다. 수개월전에 퇴직한 사무실로 연락이 왔다는 전갈을 받고 전화를 걸었습니다. 교수님은 기고문에서 상주시를 비난하고 명예를 실추시켰다고 말씀했습니다. 상복을 입기보다는 색동저고리를 입고 아이들의 탄생을 축하하자는 제안을 한 것인데 받아들이는 분들의 생각은 달랐던 것입니다.
언론인들도 다양한 시선으로 행정을 보고 사회상을 파악합니다만 전문가들 역시도 관점에 따라서는 본의나 선의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겠다 생각하고 상주시청 홈페이지에 올린 글을 곧바로 내렸습니다. 사실 이 글을 홈페이지에 올리면 공무원중 누군가가 보고 전화해서 칭찬을 하거나 강사로 오라는 초청장을 보내줄 것이라 기대했던 마음이 와르르 무너지는 순간이었습니다.
상주시 공무원들의 적극행정을 권장하고자 올린 글에 대해서 공무원이 항의하지 않고 아마도 대학교수님을 통해서 완곡하게 글을 내리도록 한 것인가 하는 생각도 했습니다. 하지만 수년이 지난 지금도 이 글을 보신 상주시 공무원이 특강 강사로 초빙해 주기를 간절히 기다리고 있다는 점을 ‘브런치스토리’를 통해 전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자 약력]
-1958년 화성 비봉 출생
-경기도청 홍보팀장, 공보과장
-동두천·오산·남양주시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경기도민회장학회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