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요 정책을 발표하기 위한 기자회견은 딱히 정해진 공간이나 장소가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방송과 신문,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대상으로 설명을 하기 위해서는 브리핑룸이 필요합니다. 평소 언론을 통해 기관장이나 유명인사가 기자회견을 하는 화면을 보면 발표자 뒷편의 이른바 '백드롭'에 신경을 쓰게 됩니다.
발표자는 자신의 주장을 열심히 설명하겠지만 대변인실 직원, 공무원들은 신문 사진이나 방송 화면에 나가는 백드롭의 시각적인 효과에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화면으로 전하는 홍보효과가 아주 크기 때문에 브리핑룸의 화면 디자인이 대단히 중요합니다.
우선 백드롭에 기관명이나 구호 등을 작은 글씨로 어려번 중복해서 배치해야 합니다. 동영상이든 정사진이든 어느 각도에서나 화명안에 우리 기관명이 나오도록 해야 합니다.
큰 글씨로 새기는 경우 전체화면을 잡을 때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발표자의 얼굴이 클로스업되는 경우에는 큰글씨의 기관명은 잘려나가게 됩니다. 예를 들어 '경기도청' 이라고 크게 쓴 경우 근경에서는 도지사님의 얼굴 뒤에 [경]기도[청]만 보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작은 글씨로 여러개의 '경기도청'과 로고 등을 여러번 중복해서 배치하여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 것입니다. 전체를 보면 지나친 듯 보이지만 TV에 나가고 신문사진으로 인쇄된 결과물을 보면 이해가 됩니다. 발표자의 어깨부터 머리위 20cm정도까지의 공간에는 기관명과 로고, 오늘 발표하는 정책의 제목을 집중 배치할 필요가 있습니다.
백드롭에서 가장 비싼 서울복판 명동의 땅 한평이라 생각해야 합니다. 신문기사 사진이든 방송이든 우리 기관명이 나가도록 하는데 노력해야 합니다. 반대로 부정적인 발표를 하거나 도정과 무관한 사항을 이야기하는 경우에는 백드롭을 커튼으로 가리는 재치도 필요합니다.
다음으로 언론인을 위한 통신라인이 필요합니다. 맑고 고운 오디오를 받아갈 수 있도록 브리핑룸 뒷면에 카메라 오디오 잭을 여러선 설치해 주어야 합니다. 무선으로 오디오를 잡기도 하지만 메인 마이크에서 따주는 라인으로
녹음을 하면 맑은 목소리를 전할 수 있습니다. 220볼트 전원코드를 여러개 준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기자회견을 진행하는 실무자들은 사전, 사후에 충분한 자료를 준비하여 언론인 모두에게 제공해야 합니다.카메라 감독에게도 보도자료를 중요합니다. 기자회견 내용에 참고가 되는 자료, 동영상 파일, 설명을 위한 판넬 등도 준비해야 합니다.
기자회견중 화면에 잡히는 부분은 기관장이나 간부가 판넬을 들고 설명을 하거나 서류를 들고 이야기하는 경우입니다. 국정감사에서도 의원이 서류를 들고 말하거나 일어서서 발언하는 모습이 뉴스에 자주 나옵니다. 마이크앞에서 다소곳이 말하는 장면은 뉴스용 화면이 아닌 것입니다.
회견이 끝나면 우리측에서 촬영한 동영상을 전하고 우리가 촬영한 사진 파일을 출입기자들에게 전해야 합니다. 기자회견장에서 전쟁하듯 셔터를 눌러대는 이유는 그중에 가장 리얼한 사진 한 두장을 건지기 위한 것입니다.
여러장 찍으면 그중에 생동감있는 사진 몇장을 뽑아낼 수 있을 것입니다. 정지되어 있는 신문에 인쇄되는 사진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려는 신문사 사진기자들의 노력을 인정하고 알아주어야 합니다.
1970년대 사진을 보면 천정위에 '경기도 퇴비증산 전진대회'라 써붙이고 그 앞에서 격려사를 하시는 도지사를 원경으로 찍어서 신문사에 보냈습니다. 잘못된 보도사진의 사례 입니다. 이제 우리는 그 프랑카드를 도지사님 어깨위에 배치하고 가까운 사진을 찍어서 보내야 합니다.
그러니 현수막도 행사장의 크기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2m 정도로 만들어 도지사 머리뒤에서 보이도록 해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행사명을 2줄로 압축하는 지혜도 필요합니다.
영화나 드라마 제작 발표회를 보면 아예 마이크에 그 제목을 매달아 줍니다. 우리도 발표자의 연대앞에 행사의 제목을 매달라 주기도 합니다.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홍보전략을 펼쳐야 합니다. 회견장 발언대 양쪽에는 태극기와 기관의 깃발을 적정한 곳에 배치하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기자회견 내용은 회견꺼리가 되어야 합니다. 일상적인 업무내용을 기관장이 발표하는 것도 맞지 않는 일이며 중차대한 정책을 실무과장이 발표하거나 보도자료 배포만 하는 것은 홍보기회를 잃는 안타까운 일입니다.
모래를 가지고 사금인양 발표해서도 안되지만 금덩어리를 숯덩이처럼 취급해서는 더더욱 안될 일입니다. 蛇足(사족) 하나 그려보면, 늑대는 두 달에 한 번 정도 나타나면 됩니다. 자주 나타나면 기자들의 눈에 '늑대가 고양이'로 보입니다.
[저자 약력]
-1958년 화성 비봉 출생
-경기도청 홍보팀장, 공보과장
-동두천·오산·남양주시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경기도민회장학회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