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국토부의 서울~양평 고속도 자체감사는 맹탕감사"

경기도지사 입장문... "말단 실무자만 징계하는 꼬리자르기 일관" 지적

 

 

[뉴스폼]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13일 국토부의 서울~양평 고속도로 자체감사와 관련 입장문을 통해 "맹탕감사"라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저는 지금까지 왜, 누가, 어떻게 해서가 문제의 본질임을 주장해 왔지만 이번 감사 결과는 셋 중 어느 것도 밝히지 못한 채 절차적 문제만 형식적으로 지적하고 말단의 실무자만 징계하는 ‘꼬리 자르기’로 일관했다" 꼬집었다.

 

경기도에 따르면 원안은 경기도가 2008년 처음 제안한 이후 13년간 검토하고 예비타당성 조사까지 통과한 안이었다. 그런데 종점을 포함해 무려 기존 노선의 55%가 바뀐 변경안이 나오기까지는 단 6개월밖에 걸리지 않았다. 기재부 협의 기준인 노선의 1/3 이상 변경을 추진하면서 기재부와는 물론, 경기도와의 협의도 일체 없었다.

 

김 지사는 "이례적이고 비정상적인 변경의 핵심에는 노선 종점부에 자리 잡은 김건희 일가의 땅이 있었다"고 말한 뒤 "그러나 이번 감사는 특혜 의혹의 사실 여부와 이를 가능하게 한 윗선과 몸통에 대해서는 전혀 밝혀내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그나마 원안보다 변경안이 더 낫다는 정부의 주장이 거짓임이 드러났다"며 "편익 산정,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노선 변경을 추진했다는 것이 감사를 통해 밝혀졌다. 그동안의 정부 주장을 완전히 뒤집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에 따라 정부에 세가지 조건을 요구했다.

 

첫째로 서울~양평 고속도로는 원안대로 신속하게 재추진할 것을 요구했다. 이번 감사로 변경안은 사실상 용도 폐기 됐다며 늦어진 만큼 속도를 내어 주민 숙원을 하루빨리 해결하고 양양 고속도로와의 연결도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두번째로는 양평군민과 경기도민에 대한 정부 차원의 공식 사과를 요구했다. 난데없는 변경안으로 사업에 중대한 차질을 초래했고 불필요한 혼란과 갈등만 가중시켰다며 원희룡 당시 국토부장관를 비롯한 고위급 책임자들에 대한 정치적·법적 책임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이제는 감사가 아니라 수사가 필요하다"며 "왜, 누가, 어떻게 해서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가 핵심이다. 윗선과 몸통에 대한 실체적 진실을 명명백백히 밝혀내야 한다"며 경기도 차원의 고발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김영준 기자

편집기자 20년 / 경인일보 전 편집부장 / 한국편집상 2회 수상 / 이달의 편집상 6회 수상 / 대구신문 근무 / 대구일보 근무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