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과 경기도의회의 언론담당관, 그리고 남양주시청, 오산시청, 동두천시청에서 부시장으로 근무한 이강석 전 경기테크노파크원장이 언론 기고문 중 100개를 모아 편집한 본인의 세 번째 책 ‘보리차 냄새와 옥수수 향기’를 2020년 출간한 바 있다.
그는 경기도에서 42년간 재직한 공직자로 공보부서에서 11년 6개월간 근무하면서 언론과 인연을 맺었고 도청 균형발전기획실장,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으로 근무하면서 꾸준히 언론에 기고했다.
또한 경기도테크노파크 원장으로 공직을 마감하면서 ‘언론사의 도움을 받은 바 크다’면서 신문사에 퇴임 인사를 다녀간 친 언론공무원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신임인사는 많이 오지만 퇴직자가 언론사를 방문한 예는 드물기 때문이다.
뉴스폼에 게재하는 '이강석의 세상만사'는 책 '보리차 냄새와 옥수수 향기'를 토대로 스마트 시대를 사는 요즘 사람들에게 스토리텔링을 통한 '옛날 이야기'를 들려주는 코너다.
대략 20년 전부터 젊은 층에서 쓰는 말 중에 애매모호한 표현으로 ‘같아요’라는 말에 대해 마음속으로 늘 거부감이 있었습니다. 뉴스 인터뷰에 나온 젊은이들은 ‘벚꽃이 참으로 아름다운 것 같아요’라고 말합니다. 꽃이 아름답습니다. 주변과 어울려서 경관이 멋집니다. 확신에 찬 의지를 표현하는 용어를 썼으면 하는데 불확실하고 책임감 없는 표현입니다. 내일아침 동쪽 하늘에서 태양이 떠오를 것 ‘같아요’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다음으로 일정기간이 지나서야 그런 상황을 마주하는 경우에 ‘맛있는 고기를 먹어본지 참 오랜만입니다’라는 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익숙했는데 요즘 대중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맛있는 고기를 안먹어본지 오래되었다’는 식으로 표현합니다. 외가에 안 간지 오래되었다고 합니다. ‘라떼’ 세대여서인가, ‘외가에 다녀온지 오래되었습니다’가 익숙합니다. 왜 긍정보다 부정적인 표현을 할까요. 10대 전후의 아이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더더욱 답답합니다. 엄마, 나 화장실 가면 안돼요? 아주머니 여기 공기밥 하나 더 주시면 안되요? 엄마와의 대화, 식당등 다중이 함께하는 공간에서 간간이 들리는 아이들의 대화내용도 답답함을 줍니다. 왜 안 되는가 물을까요. 엄마, 나
경기도 이천시 소재한 음식점에서 생태탕을 맛있게 먹고 다음번에는 반건조 동태를 조려서 만든 코다리찜을 먹기로 아내와 미래약속을 해 두었습니다. 중년 부부가 운영하는 식당인데 아내는 주방에서 생태와 코다리찜 2인분, 4인분을 연신 찌그러져 쑤세미가 닿는 부분은 반찍거리고 그 안쪽은 검정색이 남아있는 냄비에 담아 애벌을 끌여 낸 후 남편에게 인계하고 남편은 즉시 악어 입 옆으로 돌린 듯 보이는 집게로 번쩍 들어서 손님상에 배달해 줍니다. 12시가 많이 지나 들어간 식당에 손님이 한가득이고 이미 식사를 마친 테이블을 정리하지 못하고 남자 사장 혼자서 홀 서빙하고 계산대에서 카드를 받고 친절하게 건네는 모습을 보면서 장사는 이렇게 해야 잘되는 것이라는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요즘 코로나19로 손님의 등락이 크다보니 종업원을 한분 더 두지 못하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동시수용 20명 정도의 식당에서 종업원을 채용하면 한달 인건비와 함께 발생하는 잘잘한 비용을 감당하기보다는 스스로 발품을 더 팔아서 이른바 薄利多賣(박리다매)전략으로 가시는 듯 보이기도 합니다. 식당집 주인 부부중 아내의 손맛인가 생각합니다. 국물과 반찬이 입에 맞습니다. 살짝 건조후 볶아
비가 그치는 듯 보이므로 광교산 등반을 결행하였고 열심히 한걸음 두걸음 형제봉 정상을 향해 걸었습니다. 보통의 경기대에서 주차후 출발하는 코스를 피해서 조금 가까운 문안골을 지나서 영동고속도로 지하도를 거쳐서 형제봉 인근의 나무계단 부근으로 직행하는 등산로를 선택했습니다. 비가 내리는 날씨이고 국경일 대체휴무일인 월요일이어서인가 시민들의 발길이 뜸해서 아주 편안한 산책을 즐기게 되었습니다. 혼자만의 생각에 잠긴 채 길을 걸어 오르는데 잘잘한 상수리나무의 도토리가 보입니다. 깊어가는 가을이고 마침 비가 내려서 상수리 껍질이 부드러워진 터라서 하나 둘 도토리가 떨어지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그리고 등산객도 적으므로 떨어진 도토리가 쉽게 눈에 띄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도토리는 이 길가에 떨어져서 등산객의 관심을 끌기 위한 것이 아니라 부드러운 땅위에 떨어져서 깊이 박힌 후에 다람쥐 등 산짐승 천적의 공격을 기하고 차가운 겨울을 거친 후, 내년봄에 도토리의 양분으로 땅속에 뿌리를 내리고 그 뿌리의 힘으로 지상에 푸른 잎을 올려보내어 태양을 만나서 광합성을 통해 또하나의 어미나무, 아비나무를 닮은 묘목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거치고자 어미몸에서 분리되어 낙하한 것입니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말이 있습니다. 서로 무관한 일인데 동시에 발생하여 인과관계가 있는 듯 보여서 누군가가 일방적으로 오해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화성군 오산읍이 1989년 1월 1일에 오산시로 승격하였습니다. 시로 승격하면서 오산시는 개나리, 비둘기, 은행나무를 시의 상징으로 삼았습니다. 당시의 화성군과 오산시의 자료를 살펴보니 화성군의 상징물도 오산시와 같은 개나리, 비둘기, 은행나무였습니다. 오산천에 개나리가 만발하고 비둘기가 날았으며 공자님을 모시는 사당 闕里祠(궐리사)에는 510살 은행나무가 있습니다. 어느 날 오산역사에서 오산역 이름 유래를 설명하는 동판을 발견했습니다. '하늘에 까마귀가 많이 날아다녀 역명을 오산이라 했다'고 합니다. 오산역은 1904년 경부선 완공 당시 설치되었으며 이후에 설치된 오산역을 안내하는 동판이 오산역 한쪽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또 다른 오산지명 유래는 오산천에 자라(鰲=자라오, 전설상의 바다에 사는 큰 거북 또는 자라)가 많이 서식해 오산(鰲山)이라 불리다가 오산(烏山)으로 바뀌었다는 설도 있지만 애초부터 까마귀와 관련이 있다는 설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2014년에 시 상징물을
경기도청사가 새로 지어진 광교 청사에 입주했습니다. 1965년에 법이 제정되었고 이법을 바탕으로 수원 청사를 신축하여 경기도청 광화문 시대를 마감하였고 1967년에 수원청사에 입주하여 2022년 상반기까지 팔달산 시대 55년을 마감한 후 이제는 광교청사 시대를 활짝 열었습니다. 최근에 퇴직한 공직자들이 팔달산 청사에 방문하니 초가을 썰렁함에 마음 둘 곳이 없다는 글을 사진과 함께 SNS에 올리기도 합니다. 그동안 여러 번 팔달산 청사를 방문하였고 아직 남아있는 도청 사무실에 가서 업무를 보기도 하였습니다만 역시 공무원과 도민이 떠나간 팔달산 도청의 텅빈 주차장처럼 사무실도 썰렁할 것이라 예상해 보기도 합니다. 1984년부터 수십년간 근무한 사무실이니 어느 건물 몇층에 ##과 사무실이 자리했던 모습과 계 배치까지 성성하고 3년동안 차지했던 자리에는 워드프로세스를 치가 위해 발가락에 힘을 주어서 바닥이 닳아서 생겨난 흔적조차 사진으로 간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청춘을 거쳐 장년이 되기까지 일주일 내내 출근하고 점심시간에 몰려나와 식사 후 다시 들어가고 외식하고 어두운 길을 통해 올라가서 일했던 각자의 추억이 남은 손길이 기억나고 눈길을 추억하는 경기도청의 건물,
상가에 조문을 하러 가보면 빈소 좌우에 조기와 조화가 보입니다. 빈소에 설치된 국화 장식도 있고 외부인사들이 조의를 전하는 바구니 조화도 있고 스탠드형 조화대도 있으며 유력 정치인과 기업체 명의로 배치한 조기도 있습니다. 대략 세워두는 조화는 10만원내외, 바구니형 조화는 4~5만원인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치인과 기업등에서 가져와 배치한 조기는 일단 최초 제작비 이외에 추가경비는 들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조기가 제작되고 사무실에 보관했다가 상가에 가져와 조의를 표하는 방법은 생각해 낸 것은 아마도 가정의례준칙에서 정치인들이 조화를 보내는 것을 제한하는 데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합니다. 업무추진비에서 조화를 보내는 것은 예산지침에 위배된다는 판단도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수십년간 영구적으로 비용없이 상가마다 조의를 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취지와는 다르게 추가비용이 발생할 것이라는 안타까운 모습이 보입니다. 국회의원의 조기는 4년, 또는 8년을 쓰게 될 것입니다. 비서실의 연락을 받은 총무팀에서는 담당을 하여야 하는 직원이 조기를 꺼내어 승용차에 싣고 상가로 달려가서 설치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틀을 기다려서 상가로 달려가 그 조기를 회수해야 합니다.
의전에서 중요한 화두는 ‘과공은 결례’라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음식을 가득 차려놓은 주부가 ‘차린 것이 없다’고 말하고 손님은 ‘상다리가 휘어질 정도’라고 치하의 말을 합니다. 그동안 보아온 상다리는 튼튼해서 상위에 음식을 많이 올라가도 휘거나 부러지지 않을 것으로 보였으며 상의 중간부분이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부러질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1980년대에는 기관장이나 간부의 승용차가 도착하면 벌컥하고 문을 열었습니다. 2022년 오늘은 기관장 차량의 문을 열지 안습니다. 요즘 기관장은 차량안에서 결재를 하고 서류를 검토하고 전화 통화를 하기 때문입니다. 국가기관 중 의전을 중시하는 기관의 장이 현관에 도착하는 모습을 2층 창문을 통해 본 기억이 있습니다. 차 안에서 누군가가 하나둘 구호에 맞춘 듯이 운전석, 조수석, 운전석 뒤편 문이 잠자리 날개처럼 동시에 열리고 수행비서가 내려서 기관장의 차문을 박력있게 열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대통령, 도지사, 장관의 차량이 도착했을 때 수행팀이나 비서, 경호팀에서는 차분하게 여유롭게 차문을 열고 내린 후에도 여유롭게 차문을 닫습니다.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직접 문을 열고 내려서 문을 닫는 기관장이 참으로 멋져
수원 광교역사박물관 정원에는 110살 정도로 추정되는 측백나무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안내판을 읽어보겠습니다. 이 나무는 1910년경 서울 광화문 앞 의정부터에 경기도청사가 건립될 당시에 묘목으로 식재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1967년까지 광화문 청사와 함께했습니다. 그리고 경기도청이 수원으로 이전한 후 홀로 남겨진 측백나무는 약 50년간 서울의 청사철거, 주변개발 등 격동을 견뎌내던 중 측백나무가 위치했던 광화문 시민열린마당이 옛 조선시대 '의정부터 문화재 발굴지에 편입되면서 베어질 위기를 맞게 되었습니다. 이에, 광교 신청사 이전을 맞아 경기도청의 상징성과 역사성을 담고 있는 측백나무의 경기도 이전이 논의되어 2017년 8월 서울시로부터 무상양여 결정이 되었고 이곳 수원 광교박물관으로 가이식을 하게 되었습니다. 높이 13m, 수관폭 약 15m, 뿌리지름은 3m 달하는 경기도청의 역사적 흔적을 품은 고목입니다. 여러 번 와서 우러러보고 사진촬영을 했지만 어느 모습에서도 古木(고목)이라는 모습은 없었으며 그 위풍당당함이 근세 100년을 면면히 이어온 경기도민을 대표하는 듯 보입니다. 그래서 경기도 당국에서 고목이라는 표현을 ‘경기도청의 역사적 품격을 간직한 역사
지인의 100세 어머니 별세 소식을 듣고 즉시 포항 상가에 동행하게 되었습니다. 6시까지 동탄출장소에서 합류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5시까지 오면 좋겠다고 하므로 차를 두고 버스를 타고 가기로 했습니다. 그렇게 대책없이 집을 나서서 동탄으로 가는 버스를 탔습니다. 가면서 검색을 해서 찾아간다는 전략이었지만 대 실패를 하고 말았습니다. 차안에서 쌍둥이로 태어나 대견하게 성장한 딸 현아와 아들 현재에게 같은 메시지를 보낸 것부터 패착입니다. "동탄 동부출장소 가는데 62-1 승차 ㅡ 어디에서 내릴까?" 화성시에는 태안읍 병점에 동부출장소가 있고, 통탄 시가지에는 동부출장소가 추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동탄 신도시 안에 있는 동탄출장소에 가야하는데 문자에는 '동탄 동부'라고 애매모호하게 보냈던 것입니다. "동탄출장소랑 동부출장소가 따로인데, 어디 가시는지요?" 먼저 문자를 본 아들 현재가 다시 확인을 하기에 "동탄출장소"라고 알렸고, 검색결과 7-1A를 승차하라 합니다. 그래서 삼성전자가 보이는 정류장에서 62-1을 하차하여 7-1A로 환승하여 잘 가고 있었습니다. 아마도 수업을 마친 딸 현아가 문자를 보고 병점 동부출장소를 목표로 검색한 결과 지금 승차한 7-1A
저승사자 치부책에 올라가 삐침 하나로 30년을 3千년 수명을 만들어냈다는 동방삭이라는 분이 있습니다. 그냥 三十(삼십)년을 살라했는데 삐침하나 올려두니 三千(삼천)년이 되어서 2,970년을 더 받아냈다는 말입니다. 다른 이의 100배 수명을 살아온 세월로 굳어진 어깨힘 빼지 못해 저승사자에게 잡혀갔습니다. 경기도 탄천에서 검은 숯을 쑤세미로 문질러 흰 숯을 만든다는 노인은 바로 저승사자 고참의 변장술이었습니다.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행하는 것을 보고 사람들의 人口(인구)에 膾炙(회자)되었고 그 이야기가 높은 어른 행세를 하였을 동방삭의 귀에 들어갔습니다. 동방삭은 검은 숯을 흰 숯으로 만드는 작업 중이라는 변장 노인, 저승사자에가 다가가서 '내가 삼천년을 살았지만 검은 숯을 물로 닦아내어 흰 숯을 만든다는 경우는 처음'이라 말하는 순간 노인이 저승사자로 돌아와서 동방삭의 소매를 잡아챘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냥 모른척하고 넘어갔으면 그 고참 고수 저승사자도 생을 다해서 염라대왕 앞뜰에 매장되고 동방삭은 삼천갑자가 3,000년이 아니라 3,000*60년, 즉 180,000년을 더 살고 지금도 우리 사회의 지도자, 리더로 살고 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과거부터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