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하면 침대 다리에 매어 놓은 스포츠용 수건을 발목에 걸고 윗몸일으키기를 합니다. 뱃살을 관리하고 장운동을 촉진하는 효과가 큽니다. 염주를 들고 윗몸일으키기를 하면 108번에 이릅니다. 중간에 쉬어야 합니다. 뱃살이 땡겨서 연속으로 100번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쉬는 동안에 몸의 개운함을 느끼므로 열심히 윗몸일으키기를 합니다. 마음을 정리하고 평온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절하기에 들어갑니다. 1배에서 50배까지는 힘들고 여러가지 번뇌가 들어옵니다. 54배는 108배의 중간지점인데 여기에서 평온함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그 맛에 매일아침 108배를 하는 것입니다. 8년된 습관이기도 합니다. 그렇게 절을 하고나면 심신이 편안해지고 아침밥을 먹을 의지가 커집니다. 스님들은 새벽 4시에 일어나서 주변을 정리하고 불당에서 대웅전에서 부처님께 절을 올리고 불경을 외우고 독경을 하고 주지스님의 법어를 듣습니다. 목어를 두드려서 물고기를 편안하게 하고 북과 징을 쳐서 산과 들의 생명들의 안녕을 빌어줍니다. 아마도 야단법석이란 그렇게 불자와 신도와 동물을 위하는 의식일 것입니다. 사찰에서 법어를 하는 날에는 깃발을 올린다고 합니다. 전화기도 없고 그래서 SNS나 인터넷
강화군, 강화도에 대기업 비서실 근무 경력이 있는 서예가의 전시실을 인터넷을 통해 방문했습니다. 천자문을 100번 이상 다양한 필체로 써오신 분입니다. 2004년경부터 시작된 서예작업이 오늘도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넓고 정갈한 전시공간에 다양한 필체를 자랑하는 대형 작품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유투브방송에 나오셔서 글씨를 지도해 주시는 전문 서예가가 딸과 함께 이 전시실을 방문하여 50분간 나누는 대화중간에 어디에선가 전화가 오면 통화를 하시고 그 시간동안 화면은 작품을 근접 촬영해서 보여줍니다. 참으로 엄청난 대작이고 열정이 느껴지는 작품입니다. 전시된 작품말고 습작이나 수장고에 보관중인 작품은 더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빙산의 일각이겠지요. 얼음은 물보다 부피는 증가하지만 질량은 그대로 있으므로 밀도가 줄어듬에 따라 물위로 뜬다고 중소벤처기업주에서 인터넷에 설명하고 있습니다. 기온 4도에서 물의 비중은 1, 0도 1기압에서 얼음비중 0.9168이니 참고하라는 친절한 설명이 있습니다. 얼음이 물에 들어가면 0.0832만큼 수면위로 올라올 것이라는 추정을 해 봅니다. 얼음덩어리의 8.32%가 올라온다고 가정하면 보이는 빙산은 8%정도이고 설빙이 무너져 바
오전에 가서 회의하고 대략 상황을 정리하였습니다. 12시에 가까워지자 핸드폰 연결이 끊어졌습니다. 데이터를 좀 더 쓰기위해 번호이동 신청을 하였습니다. 딸 현아의 도움을 받아서 번호이동 신청을 하고 긴급 택배로 온 코딱지만한 칩을 전화가기 잠시 잠이들면 바꾸라 하기에 그리하겠다 한 것입니다. 그리고 그 시각이 되어서 칩을 교환했지만 연결되지 않습니다. 이시대에 전화가 단절된 것은 맥박이 끊기고 숨을 쉬지 않는 상태라고 보면 될 것입니다. 가수면 상태이거나 식물인간 취급을 스스로 하게 됩니다. 멍해집니다. 지금 나 자신은 아무런 연결이 되지 않고 세상과 단절이 된다는 느낌이 듭니다. 금단현상이라고도 합니다. 담배를 피우던 시절에 끊어야 한다는 마음이 들어서 금연을 결심한 바가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아침부터 금연을 시작하겠다는 마음을 먹는 순간에 생각이 멍해졌습니다. 담배를 피우지 못하면 어찌하나 하는 걱정인듯 느껴지는데 걱정의 명확한 모습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냥 하늘의 구름을 보는 듯, 꿈속에서 어느 동네를 방황하는 느낌으로 금연에 대한 결심과 담배를 피우지 못한다는 걱정의 마음이 교차하고 있었습니다. 이를 금단현상이라 한답니다. 심한 경우에는 새벽에 일
자주 뵙는 어르신의 모친께서 95세에 별세하셨다는 단톡방 전갈을 사당 전철역에서 받았습니다. 즉시 아내와 의논하여 함께 가자 했습니다. 하지만 7001번 버스안에서 아내, 딸과 수십번의 카톡을 통해서 표를 구하기 어렵고 1박을 해야 하는 상황이니 아빠만 조문을 가기로 했습니다. 그리하여 예매를 하고나니 시간에 여유가 있습니다. 동탄에서 SRT를 이용하기로 했습니다. 수서에서 출발하여 동탄, 지제, 대전, 대구, 울산을 거쳐 부산역에 이르는 고속철입니다. 검색을 해보니 SRT는 주식회사 SR이 운영하는 민간투자사업 고속 열차. 2016년 2월 1일, 수서-평택고속선의 운영회사인 SR은 한국철도공사가 사용하는 고속철도 브랜드명인 KTX를 사용하지않고, 'SRT'라는 독자 브랜드명을 사용하기로 하였다고 합니다. SRT는 ㈜SR이 운영하는 열차(SR Train)이자, 시속 300km/h로 목적지까지 빠르게 운행하는 'Super Rapid Train'이라는 의미를 동시에 담고 있습니다. 딸과 엄마가 승용차를 타고 동탄역에 내려주어서 인사를 하고 에스컬레이터를 3번인가 타고 지하에 지하로 내려가서 예매시각의 기차를 기다립니다. 선행차량 한대를 보내고 순서가 되어 승차를
하루 5곳 사찰을 방문하였습니다. 갑사, 황룡사, 천왕사, 비암사, 각원사에가서 부처님의 가피를 빌었습니다. 우리는 오늘 5곳의 사찰을 방문하여 절하고 사찰경내를 琓賞(완상)하였으며 찻집 두 곳에서 동양식 차와 서양식 커피를 마시면서 정지된 시간을 보냈습니다. 기네스북에 올려도 遜色(손색)없을 여정이었고 여유로움이 풍성하여 다른 어떤 여행보다 평온했습니다. 더구나 그 일정이 10분 이내로 타이밍이 딱딱 맞아 떨어지니 우주선 발사, 대통령 경호 일정과도 比肩(비견), 匹敵(필적)한다 할 것입니다. 교통량을 역주행하니 막힘이 없고 주차장도 매번 불편없이 이용하면서 공주시와 세종시를 오고 가는 행복한 여행이었습니다. 우리가 잘한 것보다는 대한민국에 그만한 편익시설이 갖춰진 것이고, 특히 세종특별자치시와 공주시에서 재정을 투자하여 편익시설을 갖췄고 특히 단체장님들이 불가에 깊은 관심을 가지셔서 사찰의 진입로를 포장해 주신데 대해 감사인사를 드릴 수 있습니다. 2023년 2월 28일에 예정했던 사찰방문 일정을 3월17일에 다시 진행하여 다녀왔습니다. 2월말에 코로나증상이 있어서 급하게 일정을 미뤘는데 검사결과 음성이어서 다른 일정으로 활용한 바 있습니다. 일행은 매년
최근 동두천시의 경제적 어려움을 알리는 언론보도를 보면서 동두천시와의 인연을 회고해 보았습니다. 1997년 2월 13일에 동두천시청에 발령을 받았고 당시 방제환 시장님으로부터 생연4동장에 보임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빈자리 공보실장을 채우는 평범한 인사가 예정되었는데 당시 인사담당과장의 절친인 도청의 선배 사무관이 “이 사람은 과장보다는 동장에 어울린다”는 전언을 들으시고 시장님과 협의하여 생연4동장에 보임한 것으로 압니다. 1998년에 경기북부에 큰 수해가 발생하였고 동두천시민들도 폭우피해를 입었지만 군, 학생, 전국단위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을 받아 극복했고 당시 국방부장관에게 보낸 감사편지가 국방일보 제10170호(98. 9. 3)에 실린 바도 있습니다. “국토방위를 위하여 연일 바쁘신 와중에서도 이번 수해복구를 위해서 헌신적으로 도와주신 국방부장관님 이하 장병 여러분께 깊이 감사를 드립니다. 저는 경기도 동두천시청 생연4동장 이강석입니다. <중략> 병사들은 시민에게 희망의 불빛이었습니다.”로 마무리되고 있습니다. 다른 언론 기고문에는 걸산마을에 대한 글도 있습니다. 『시간마저 멈춘 듯 평화로운 '걸산마을'』이라는 제목으로 동두천의 특별한 마을을 소
화성군청 청사는 수원시 매향동에서 출발하여 오산읍의 화성군청으로 이전합니다. 그리고 2000년 11월에 오산시에 있던 화성군청을 지금의 남양읍 시청로 159번지로 이전하였으며 2001년 3월에 화성시로 승격하였고, 2025년 1월에 100만시민의 화성특례시가 되었습니다. 당시에 화성군 남양면에 근무한 윤상배 국장은 화성군청 후보지 선정작업에 참여하여 '화성군청 청사 후보지'라는 팻말을 들고 사진을 찍은 기억이 있다고 회고합니다. 윤 국장은 화성시청 공무원으로 정년퇴직하여 현재 화성시 시민옴부즈만으로 민원상담을 합니다. 윤국장의 회고에 따르면 화성군청 청사를 준공할 즈음에 남양면사무소에서 관리하던 여러그루의 향나무중 2그루를 골라 군청청사 정면에 식재하였습니다. 지금 풍성한 가지를 뽐내며 잘 자라고 있습니다. 청사에서 바라보아 왼쪽의 둥근 향나무는 여성스럽고 오른쪽의 길게 가지를 하늘로 들어낸 향나무는 남성스러워서 당시의 공직선배들이 암수 나무를 정하여 이식한 기억도 간직하고 있습니다. 2025년 화성시청 이전 25주년을 맞이하여 이전당시의 추억을 회고하면서 동시에 민원동과 대강당동, 본동과 의회동 사이에 4층 건물만큼이나 높게 자란 메타세콰이어도 현직 간부
옛날에 어떤 노인이 70세를 부자로 살다가 저승에 가서 배정된 방에 들어가 보니 되지죽 한 그릇이 덩그라니 놓여있으므로 기가 막히는 노릇이다 생각하면서 바로 옆방을 눈여겨 보았습니다. 옆방에는 16세에 요절한 규수가 들어갔는데 쌀과 과일이 수북하게 쌓여있었습니다. 노인으로서는 대단히 불공정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자신을 데리고 온 저승사자를 만나서 따져 물었습니다. “내가 이승에 살 때에 땅땅거리며 부자로 살았는데 내방에는 달랑 돼지죽 한 그릇뿐이니 다른 사람들에 비하여 차별이 심한 것 아니요?” 저승사자가 말했습니다. “우리는 영감님이 어찌 사신 것은 알 길이 없고 이승에 살면서 남에게 베풀어준 공덕내용대로 배정된 물품을 저승방에 가져다 놓을 뿐이오.” 저승사자가 가져온 내역서에는 달랑 2가지 내용이 적혀있었습니다. 이 노인이 70년을 살면서 딱 2번 남에게 베푼 일이 있었습니다. 한번은 이른 아침에 돼지에게 죽을 주기위해 대문을 나서서 돼지우리로 가려는데 스님이 탁발을 왔습니다. 독경을 하면서 장시간 탁발을 기다렸지만 노인은 쌀이나 밥을 내올 생각이 없었습니다. 그래도 스님이 탁발을 기다리자 들고있던 돼지죽을 스님에게 뿌려대면서 더 이상 내집 대문에 머물지
조물주가 천하에 으뜸가는 경승을 하나 만들고 싶어 온 산의 봉우리들을 금강산으로 불러들여 심사했다고 합니다. 둘레가 4km쯤 되는 울산바위는 울산을 출발하여 금강산을 향해 달려갔습니다. 하지만 덩치가 커서 늦게 도착하는 바람에 금강산의 일원이 되지 못하였습니다. 울산바위는 고향으로 되돌아가는 것도 쉽지 않다 생각하고 지금의 자리에 눌러 앉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조선시대에 설악산을 방문한 울산부사가 이 울산바위의 전설을 듣고 신흥사를 찾아가 주지스님에게 주장합니다. “울산바위가 너희가 관장하는 사찰림에 와 있는데 땅세를 물지 않으니 괘씸하기 그지없다. 땅세를 내 놓아라” 그래서 신흥사 스님들은 매년 ‘울산 바위세’를 물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해에 신흥사의 똑똑한 동자승이 전면에 나섰습니다. “이제 세금을 내지 못하겠으니 이 바위를 도로 울산 땅으로 가져가시오.” 이에 울산부사가 답했습니다. “이 바위를 재로 꼰 새끼로 묶어주면 가져가겠다.” 재로 새끼를 꼴 수 없으니 계속해서 산세를 받겠다는 생각이었습니다. 하지만 생각깊은 동자승이 사람들을 모아서 청초호와 영랑호 사이 지금의 속초 시가지가 자리한 땅에 많이 자라던 풀로 새끼를 꼬아 울산바위를 동여맨 뒤에
흔히 철부지란 계절의 변화를 모르는자를 지칭합니다. 한여름에 두터운 옷을 입고있다면 계절을 모르는 ‘철부지’인 것입니다. 9급 신규공무원을 지나서 이제 막 공무원으로 세상에 발을 내딛던 시절의 이야기입니다. 면사무소 직원이 도청 직원으로 가는 것이 얼마나 큰일인가 조차도 잘 몰랐던 이야기입니다. 그날 팔탄면사무소에서 경기도청 소속의 사업소인 농민교육원으로 발령을 받는 상황을 회고해 봅니다. 동동주에 살짝 취했다. 면사무소 회의실 장의자에서 널부러져 단잠을 자고 있는 서기보 이강석이를 깨우는 이가 있다. 발로 뻥 차는 느낌이 들었다. 발령이 났단다. 아 1년여 만에 나도 고향인 비봉면으로 가는구나 했다. 도청발령은 생각하지 않는 터였다. 그런데 도청소속의 농민교육원으로 발령이 났다. 도청으로 가기전에 군청에 들러 전출 발령장을 받았다. 요즘에도 가끔 연락하는 이한수 선배가 내무과에서 대기중인 나에게 다가와서는 큰 소리로 ‘이서기 축하해여!’한다. 이분이 팔탄면 출신인데 주변 사람들이 무엇을 축하하는가 묻자 “몰랐나?, 팔탄출신 이서기가 도청으로 간다네!”했다. 일어서서 수줍게 인사를 하였다. 비봉출신이고 팔탄면에서 1년6개월 근무했다. 경기도청은 팔달산에만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