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책상

이강석 전 남양주시 부시장(전 경기도청 언론담당)

 

 

1988년 어느날, 아침 출근한 기자는 무슨 일을 할까요. 우선 출근하여 부장, 차장에게 인사를 하고 커피도 마시고 복도에 나가 담배도 피웁니다.

 

과거 한참 시절에는 기자 책상위에 대형 유리 재털이가 있어서 오전에 한 웅큼 채운 후 비우고 오후에 출입처에서 돌아온 3~4시부터 6시까지 한 번 더 채워준 후 오늘 밤에도 한 번 더 피울 요량이었습니다.

 

끽연자의 천국이랄 수 있는 1980년대에는 공무원 책상위에도 재떨이가 있고 기자 책상위에도 재떨이가 있다는 사실이 공통점이라면 저녁 8시 이후 공무원 책상위에는 전화기만 달랑 남아있는 반면 기자님 책상 위 자료는 3년4년 이어진다는 사실입니다.

 

기자 책상위의 자료들은 정치부에서 사회부, 경제부에서 문화부로 발령 나야 잠시 정리되었다가 후임자가 와서 1개월 쯤 지나면 본모습 그대로 자료가 쌓이게 마련입니다.

 

이는 출입처 기자실에도 마찬가지인데요 10년 이상 한 기관에 출입한 기자의 책상 위 자료가 쌓인 모습을 보면 마치 地質(지질)학자가 쌓이고 싸인 모래 퇴적층에서 고생대 중생대를 구분해 내듯이 갱지와 복사지가 연대별로 쌓이면서 太陽熱(태양열)에 의한 숙성 정도에 따라 그 자료 단면의 색이 초코렛 색에서 연한 홍차색으로 변하는 이른바 컴퓨터 문서편집의 '그라데이션 "같다고 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참으로 신기한 것은 돌탑처럼 그냥 차곡차곡 쌓여있는 자료이지만 본인이 던져둔 자료의 위치를 정확히 기억합니다. 예를 들어 5년 후에 판교 환풍구 사건 보고서를 찾는다하면 사회부 기자 10년차이면 3분안에 그 자료 탑에서 원하는 자료를 가져옵니다.

 

물론 요즘 젊은 기자들은 크라우드 등 각각의 사이버 공간에 자료를 저장할 것입니다만 1990년대 기자들은 책상위에, 그리고 출입처 책상 위와 주변에 이삿집 같은 자료속에서 필요한 책자를 금방 집어 올리는 신기술을 가졌다고 생각합니다.

 

기자와 담배는 소설가의 끽연과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1980년대 오른손 펜대를 들고 원고지를 잡으면 왼손에 담배가 있어야 기사가 써집니다. 눈을 찡그리며 자신의 담배연기를 피하면서 그 작은 시야로 넓은 광야의 기사를 이어나갑니다.

 

참으로 신기한 것은 눈 크다고 다 보는 것 아니고 실눈 속으로도 이 세상의 정의와 불의가 다 들어온다는 것입니다.

 

기자의 책상에는 책, 자료, 사진, 재떨이가 어지럽게 펼쳐져 있었지만 요즘 젊은 기자들은 아주 얇은 노트북과 랜선으로 모든 기사, 사진, 정보를 주고 받으며 신문을 완성하고 그 기사를 인터넷에 올리고 있습니다.

 

그 옆에 대형 재떨이가 자리했으면 얼마나 좋을까 옛날을 회상하는 부장급 선배들이 맘 편하게 담배를 피워대던 30대 시절이 그리울 것입니다.

 

 

[저자 약력]

-1958년 화성 비봉 출생
-경기도청 홍보팀장, 공보과장
-동두천·오산·남양주시 부시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경기도민회장학회 감사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이강석 기자

공직 42년, 동두천, 오산, 남양주부시장, 경기도 실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역임// (현) 화성시시민옴부즈만, 행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