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랑이 굴 고도의 상상을 동원하여 호랑이를 잡아보겠습니다. 호랑이는 깊은 산속에 있는 영물이므로 준비가 많이 필요합니다. 우선 토끼 한 마리를 꿀과 참기름에 비벼서 매끄럽게 합니다. 그리고 오리 잡을 때 남은 황색 빨랫줄로 기름 칠한 반질반질한 토끼의 허리를 묶어주고 그 줄에도 참기름을 듬뿍 칠해줍니다. 이어서 호랑이 다니는 길목 큰 나무에 토끼를 묶은 반대편 빨랫줄을 단단하게 묶어둔 후 산을 내려옵니다. 24시간 후에 다시 호랑이산에 올라가 보면 호랑이 5마리가 한 줄로 서서 우리를 기다립니다. 어제 참기름에 꿀로 코팅을 한 토끼가 깡총깡총 뛰어다니자 호랑이가 한입에 먹었고 매끄러운 토끼는 소화될 틈도 없이 불과 15초만에 항문으로 탈출합니다. 그리고 다음 호랑이가 토끼를 삼키고 다시 나오고 다시 먹고 나오기를 반복하면서 그 길을 지나던 호랑이 가족 5마리가 빨랫줄을 타고 한 줄로 서서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더라는 말입니다. ◈ 곰 세 마리 곰 몇 마리를 잡아 보겠습니다. 곰은 꿀을 좋아합니다. 곰이 다니는 길목에 충분한 꿀을 뿌리고 그 위 나뭇가지에 줄을 맨 후 50kg짜리 바위를 튼튼한 동아줄에 매어 매달아 줍니다. 몇 시간 후에 곰 한 마리가 꿀
◈ 참새를 잡아요 우선 참새를 잡으려면 폭설이 내린 날을 잡아야 합니다. 새들의 먹잇감이 흰 눈에 감춰진 상황에서 눈을 치우고 멍석을 펴고 그 위에 흰 쌀을 뿌린 후 짚으로 역은 채반을 막대기로 세워놓고 막대 끝에 노끈을 맨 후 방안 창문으로 연결한 다음 새들이 오기를 기다리면 됩니다. 온통 흰 눈으로 뒤 덥힌 산마을 하늘을 날던 참새떼가 마당 한가운데 멍석에 뿌려진 먹이를 발견하고 단체로 달려옵니다. 정신없이 쌀알을 쪼아 먹다가 어느 어리숙한 새들이 채반 아래에 있는 쌀알에 욕심을 내고 들어섭니다. 방안에서 이를 지켜보던 동네 청년은 5마리 7마리 정도 단체 참새 손님이 들어와 성찬을 즐기는 순간에 연결된 노끈을 살짝 잡아당깁니다. 마치 시드니에 있는 오페라하우스처럼 들려있던 채반이 내려오면서 7마리중 4마리가 압사합니다. 3마리는 가장자리에 있었으므로 급하게 탈출하여 목숨을 부지합니다. 청년은 달려가서 참새 4마리를 수확하고 다시 채반을 돗단배처럼 세워준 후에 다시 쌀 한줌을 뿌리고 방으로 들어와 잠시 기다립니다. 새머리, ‘새대가리’라고 합니다. 아까 혼비백산 그 참새가 하늘을 나는 드론처럼 먹이를 찾다가 그 마당에 다시 찾아옵니다. 그리하여 2-3시간
▣ 며느리와 시아버지의 유식한 對話 가난한 집에 손님이 왔는데 며느리가 시아버지 눈치를 보면서 문밖에서 묻습니다. “아버님, 인량복일 할까요?” = 人良卜一 = 上食(상식하리까요?) 시아버지가 답합니다. “에헴, 월월산산” = 月月山山 = 朋出 (친구가 가거든) 이에 손님은 슬며시 인사를 하고 집을 나서면서 한마디 합니다. “정구죽천 이로다” = 丁口竹天 = 可笑(가소롭도다) ▣ 家訓文句(가훈문구) 博愛(박애) 널리 사랑하라 中庸(중용) 치우치지 않도록 明德(명덕) 덕을 밝힘 日新(일신) 날로 새롭게 樂則安(락즉안) 즐거우면 편안할 수 있다 靜中動(정중동) 조용한 가운데 움직임 信望愛(신망애) 믿음 소망 사랑 眞善美(진선미) 참되고 착하고 아름답게 知仁勇(지인용) 지혜 어짐 용기 誠敬直(성경직) 성실하고 공경하고 정직하게 磨鐵杵(마철저) 끈기있게 노력하면 끝내 이룰 수 있다 思無邪(사무사) 생각함에는 사악함이 없어야 한다 染常淨(염상정) 더러운 곳에 있더라도 항상 깨끗하라 樂善不倦(락선불권) 선을 즐기는 사람은 권태로움 없다. 自勝自强(자승자강) 자신을 이기는 자가 강한 자다 人一己百(인일기백) 남이 한번할 때 나는 백번 大道無門(대도무문) 큰 도는 이름조차
▣ 심장 박동수 쥐들의 수명이 짧은 것은 심장 박동 수에 있습니다. 거대한 코끼리의 경우 1분에 심장이 25번 뛰지만, 작은 생쥐는 1분에 600번이나 뛴다고 합니다. 생쥐는 겨우 2~3년밖에 못 살고 코끼리는 75년까지 살지만, 평생의 심장 박동 수는 동일하게 약 15억 회라는 것입니다. ▣ 자동차 핸들에 지압봉 자동차 핸들에 지압봉을 설치하자는 의견입니다. 차량을 운전하면서 지압을 하면 건강에도 좋고 운전에 집중할 수 있으며 졸음운전을 예방하는 등 1석3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자동차 핸들에서 두 손이 자연스럽게 자리하는 곳에 각기 지압봉을 설치하고 전기찜질 기능도 설치하는 것입니다. 평소에는 지압봉을 잡고 스스로 운전을 하면서 지압효과를 볼 수 있고, 혹시 졸음이 오는 경우 지압봉을 잡지 않거나 잡은 손이 느슨할 경우 전기센서에 의해 찌릿하게 정신차리라는 메시지를 주도록 하자는 것입니다. 핸들을 세게 잡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겠지만 스스로 힘을 주어 쥐었다 풀었다를 반복하면 지압효과는 물론 졸음 예방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우리나라 자동차 회시에서 아이디어로 가져가시기를 바랍니다. 채택이 되신다면 훗날 저에게도 지압봉 2개만 주시면
다산 정약용 선생님은 18세기에 태어나시고 18년간 벼슬을 하시고, 이후 18년간 유배생활을 하였습니다. 解配(해배)되어서 여생 18년을 경기도 남양주에서 사셨습니다. 2016년에 시에서는 다산서거 180년을 맞아 처음으로 시가 주관하는 추모제향을 올렸습니다. 평생동안 저서 500권을 남기셨고 하피첩을 아들에게 전해주셨습니다. 저서 중에는 1표2서라 해서 經世遺表(경세유표), 欽欽新書(흠흠신서), 牧民心書(목민심서)가 있습니다. 그리고 하피첩은 강진군의 다산초당에서 유배생활을 하시면서 두 아들에게 당부의 말씀을 주신 편지입니다. 정약용 1762-1836/정조 1752-1800 (1801년에 유배) [다산의 하피첩 채워넣기] 다산 정약용(1762~1836)은 차를 좋아해서 호를 다산(茶山)이라 하였고 한강을 의미하는 열수(洌水)라고도 했다. 혁신군주 정조(1752~1800)는 10살 후배 정약용을 중용했다. 다산은 정조를 보좌하면서 한강에 배 다리를 건설하고 1793년 31세 나이에 화성을 설계했다. 현재의 경기도청이 자리한 팔달산에 화성을 축성하는 공사를 총괄했다. 거중기라는 과학적 장비를 활용했다는 역사적 사실은 모두가 잘 아는 이야기다. 오늘날의 기중기
▣ 김삿갓면 - 金一面 (강원도 영월군) 고려시대에는 밀주(密州)라 불렀으며 1698년(숙종 24)에 하동면으로 개칭되었습니다. 조선 후기의 방랑시인 김삿갓(본명 김병연)의 거주지와 묘, 문학관 등이 있어 김삿갓마을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영월군은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 2009년 10월 면의 명칭을 김삿갓면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설명] 1811년 선천부사 김익순이 홍경래에게 항복하여 연좌제로 집안이 망했다. 당시 6세이던 김병연은 하인의 도움으로 황해도 곡산으로 피신하였다. 이후 사면되어 김익순의 항복을 비판하는 답을 적어내여 급제하였다. 그러나 김익순이 자신의 조부라는 사실을 알고 벼슬에서 나와 방랑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스스로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며 큰 삿갓을 쓰고 다녀 김삿갓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김삿갓은 전국을 방랑하며 즉흥시를 지었는데 권력자와 부자를 諷刺(풍자)하고 嘲弄(조롱)하는 것이 많아 민중 시인으로 불립니다. 김삿갓은 전국을 방랑하다가 전남 화순에서 객사했습니다. 묘는 영월군 태백산 기슭에 있으며 1978년 그의 후손들이 광주 무등산에 시비를 세웠고, 1987년에 영월에 詩碑(시비)가 세워졌습니다. [방랑시인 김삿갓 노래비] 죽장에
▣ 정신병원 분수대 낚시 정신병원 분수대에서 환자복을 입은 2명이 낚시대를 드리우고 살살 흔들고 있다. 그 옆을 지나가던 닥터 3명이 잔잔한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입질 좀 해요?” 환자복을 입은 2명중 한 명이 말했다. “별로에요~” 의사 3명이 저만치 지나갔다. 이번에는 다른 환자복 입은 이가 말했다. “미친 놈! 분수대에서 물고기가 잡힌다고 생각 하나 봐!” ▣ 안성시 죽일면 → 일죽면 경기도 안성시에 죽1면, 죽2면, 죽3면이 있었는데 語感(어감)이 좋지 않으므로 일죽면, 이죽면, 삼죽면으로 개명하였다고 합니다. 군청에서 전화를하면 면 공무원들이 “죽일면, 죽이면, 죽삼면입니다”하므로 어감을 부드럽게 일죽면, 이죽면, 삼죽면으로 바꾼 것입니다. ▣ 청주비행장 – 비상리와 비하리 청주비행장이 들어선 고장의 옛날 지명이 비상리(飛上理) 와 비하리(飛下理)였고, 관제탑이 들어선 장소에는 관제리(管制理)라는 마을이 있었고 청주공군사관학교가 있는 자리의 마을 이름은 쌍수리라고 합니다. 지명을 보면 진짜 예전부터 비행장이 되는 것이 운명인 것 같은 곳이네요. ▣ 강화군 내가면 강화군이 경기도일 때 내무부의 젊은 간부가 관선 군수 발령을 받고 토요일 오후에 임지
▣ 토목기좌와 소좌 중좌 상좌 대좌 과거 공무원 직급에 행정직에는 5급에 사무관이 있고 기술직렬 5급에 ‘기좌’가 있었습니다. 내무부 토목5급으로 근무하시던 간부가 서울시내에서 不審檢問(불심검문)을 받았습니다. 자신있게 공무원증을 내보이자 나이 어린 전경이 ‘기좌’라는 직위를 보고서 ‘아저씨는 북한에서 왔나요?’라는 어처구니 없는 질문을 하였습니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1983년2월25일 북한에서 이웅평 대위가 미그 19기를 몰고 귀순하여 수원비행장에 내리는 ‘실제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 신문 방송에 북한군 전투기 조종사 이웅평 대위 귀순 소식이 大書特筆(대서특필)되었습니다. 그런데 북한군 장교 계급에는 소좌, 중좌, 상좌, 대좌가 있다는 내용도 언론을 통해 알려졌습니다. 내무부 간부를 검문한 초보 전경은 공무원증에 ‘토목기좌’라 적혀 있으므로 북한군 신분증으로 오해를 하고 북한에서 왔는가 물은 것입니다. 이 토목기좌 간부는 이른바 ‘소원수리’(訴願受理, 불법 부당한 행위로 인한 피해에 대한 구제요구 및 불합리하고 비정상적인 상황에 대한 시정요구를 건설적인 부대 운용을 위해 검찰관이 받아서 처리하는 행위)를 통해 당시의 당혹스러운 사례를 소개하면서
김선태 홍보맨과 임사빈 도지사 충주시청의 홍보맨으로 유명한 김선태 주무관이 공직 7년만에 6급에 승진했다. 공무원 9급으로 공직에 들어와 6급에 승진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대략 15년이라는데 2016년 1월에 9급으로 입직한 김 주무관은 다른 공무원보다 6년 빠른 7년만에 승진했다. 주사는 사무관 바로 다음 단계의 직위이다. 어린시절 마을에서는 50세 전후의 어르신을 주사라 호칭했다. 공직에 들어가니 50대 중후반의 선배공무원이 주사이고 부면장님도 6급 주사였다. 9급 공무원에서 1급 경기도지사에 이른 분이 있다. 임사빈 경기도지사이다. 1935년생이고 1999년 8월에 63세로 별세했다. 1987년 12월부터~1990년 6월까지 제22대 경기도지사로 일했다. 88올림픽을 준비하고 전국체전에서 열무김치국수를 제안하여 도민들의 칭송을 들었다. 임두목이라는 이름으로 도출신 도백으로서 인기가 높았다. 내무부 공보관으로 일할때 기자와 친밀했는데 다른 부서로 승진하여 이동하니 그 기자들이 공보관을 버리고 임사빈 국장실로 몰려들었다고 한다. 말술에 말씀도 잘하신 행정의 달인이고 뚝심있는 공무원이었고 국회의원을 하였으며 도지사 후보로 나선 바 있다. 당시 공보실에 근무
해외여행이 일반에게 개방되던 시절에 마음씨 착한 시골 할머니가 비행기 이코노미석에 탑승했다. 비행기가 이륙하고 몇 시간 지나서 기내식을 먹고 화장실에 들러서 돌아와야 하는데 점보비행기라서 길을 잘못 들었다. 잠시 다른 칸으로 가서 커튼을 열고 들어가니 큰 의자가 여러 곳 비어있었다. 비즈니스석으로 간 것이다. 할머니는 지금까지 좁은 좌석에서 불편하였던 것을 생각하면서 자신을 差別(차별)대우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비즈니스석에 편안하게 자리를 잡고 앉았다. 잠시 자리를 비웠던 비즈니스석 승객이 돌아오니 할머니가 자신의 자리를 차지하고 앉아있다. 승무원에게 상황을 말했다. 급하게 달려온 승무원이 할머니에게 본인의 자리로 돌아가시도록 안내했다. 하지만 할머니는 搖之不動(요지부동)이다. ‘나를 불편한 자리에 앉게 하고 자기들만 편안한 의자에서 쉬면서 즐기고 있다’며 오히려 逆情(역정)을 냈다. 팀장이 오고 실장이 와서 이야기해도 할머니는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았다. 승무원들이 더이상 어쩌지 못하고 右往左往(우왕좌왕)하자 옆자리 승객이 승무원에게 자신이 나서보겠다 말했다. 차분히 할머니에게 다가가서 말했다. 그러자 할머니는 번쩍 일어나서 자신의 자리로 돌아갔다. 할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