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 - 위나라 曺丕(조비) - 군자는 미연에 방지하고 혐의가 있는 곳에 머물지 않는다. 오이 밭에는 발을 들이지 않고 자두나무 아래에서는 갓을 바르게 하지 않는다. 君子不器(군자불기) : 공자 논어 위정편에서 군자를 정의함. 군자는 학식과 유연한 사고를 두루 갖추고 있으며 사회적 위상보다는 도덕적 품성이 높은 사람이다. 예기 학기에 대도불기 - 큰 도는 세상의 이치를 꿰뚫고 소소한 지식에 연연하지 않는 회통과 통섭의 사유이다. 이것이 군자의 앎이자 실천이다. 공자-周而不比(주이불비)-원만하지만 붕당을 이루지 않는다. 在所自處(재소자처) - 처세에 따라 인생이 결정된다. (진시황때 이사) 太山不讓土壤 河海不擇細流 - 태산은 흙을 사양하지 않고, 큰 강과 바다는 물줄기를 가리지 않는다. [공자님] 나는 열다섯에 배움에 뜻을 두었고 서른이 되어서는 자립했으며 마흔이 되어서는 미혹되지 않았고 쉰이 되어서는 천명을 알게 되었으며 일흔이 되어서는 마음이 하고자하는 대로 따라도 법도를 넘지 않았다. 知彼知己(지피지기) 百戰不殆(백전불태) 信言不美 美言不信 善者不辨 辯者不善 - 노자 81장 - 믿음직스러운 말은 아름답지 않고 번지
아침에 김형석 교수님의 강의를 동영상으로 시청했습니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50세에 미래를 준비해야 하고 늘 바쁘게 할 일을 가지고 사는 것이 건강의 비결이라 하십니다. 60세가 되면 이제 조금 자리를 잡고 세상을 알게 된다고 하시면서 이후 75세까지 열심히 살라 하십니다. 안병욱 교수 등 3명이 모여서 1년에 4번정도 만나는 모임을 갖자는 제안이 있었지만 그렇게 만나다가 누군가가 먼저 떠나면 남은 친구들의 상실감이 클 것이니 정기적인 만남을 정하지는 말고 평안하게 만나고 교류하자 했었는데 지금 두분이 돌아가시고 혼자 남았다 하십니다. 부부가 20대에는 남자와 여자로 좋아서 살고 40대에는 애정으로 살며 70에는 동지애로 함께 한다 하십니다. 그리고 20년동안 아내를 간병하면서 하나도 힘든 것을 몰랐다 하십니다. 이제 먼저 떠나간 아내가 그립다 하십니다. 그래서 노후에도 친구가 있어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강의내용이 평범한 인생사를 말씀하시지만 98세의 노교수, 철학자의 말씀이니 이 시대를 사는 이들에게 師表(사표)가 되겠습니다. 거듭 건강의 비결은 끊임없이 할 일을 만들고 거기에 정력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니 후배나 제자 중에 60세가 되었다고 하면 이제 자네는
어제저녁에 효지도사 교육을 마치고 수료를 앞둔 기성세대 만학도 앞에서 50분간 이야기 보따리를 풀어 보았습니다. 공무원의 직급을 설명했습니다. 1970년대 5급 을류 공무원이 지금의 9급 공무원입니다. 서기관은 4급공무원입니다. 그리고 서기관으로 근무하던 중에 도의회 공보담당관으로 근무하면서 울릉도와 독도 여행을 하시는 도의회 의원님을 수행하였습니다. 2008년 도의원님들은 일본의 교과서에 독도가 일본땅이라는 주장을 규탄하는 행사를 열기위해 강원도 묵호항 인근에서 1박 하고 다시 울릉도에 들어간 후 배를 바꿔타고 독도로 향했습니다. 동해바다 한가운데에서 저 멀리 수평선에 떠오르는 독도를 만나는 감흥은 실제로 배틀 타고 그 현장에 가셔야 제대로 느끼실 수 있습니다. 너나 할 것없이 자신도 모르게 저 가슴 깊은 곳에서 신음소리를 낼 정도로 장엄한 독도와의 만남입니다. 울릉도가 저만치 보이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독도와의 마주침의 공명이 아주 크다는 점을 말씀 드렸습니다. 그리고 순조롭게 진행된 독도방문을 마치고 울릉도에서 오후배를 타기 위해 짐을 들고 도동항으로 내려왔습니다. 하지만 공무원중 배표 담당이 출항 30분 전에도 돌아오지 않는 함흥차사입니다. 부잣집 엄
시작이 반이라고 등산화를 신는 것만으로도 운동 효과가 있다는 말을 들은 바 있는데 새해가 되면 개인적 여건이 등산하기에 좋아질 수 있으니 자주 산에 오르리라 마음을 먹는다. 인생사모든 일은 부족하고 어려운 여건에서 결정을 감행해야의미가 있고 그 결과에서 큰 행복을 얻는다. 그래서 내일이라도 당장 등산을 가고 싶어진다. 등산로에서 700m 남았다고 이정표에서 확인했는데 평지보다 산에서는 더 멀게 느껴진다. 전문가에말씀이 산에서의 거리는 지상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거리란다. 그러니 가파른 산등성이를 오르고 내려가는 것은 온전히 등산객이 감당할 몫인 것이다. 흔히 말하는 ‘걸어서 5분’은 지나친 주관적 표현이다. 어른과 아이에게 차이가 있는데 자신을 기준으로 말한다. 등산길은 그래서 짧은 거리는 멀게 느끼고, 먼 거리도 등산에 취하면 생각보다 가깝게 받아들인다. 골프장에서 T-샷을 하면 계곡이나 해저드 위를 날아가 안착하니 비거리는 200m정도다. 하지만 골퍼는 카트를 타고 500m를 우회하여 쎄컨샷을 하게 된다. 골퍼는 500m를 이동하지만 골프공은 지름길로 날아간 것이다. 하지만 골퍼의 맨탈은 계곡으로 빠질까, 물로 들어갈까 걱정하여 힘을 쓰게
고향마을 노인대학에서 삶에 대한 강연을 3년째 이어가는 중입니다. 공직 선배님이 노인대학장을 하시고 시골마을에 시집오신 아주머니뻘의 70 며느리가 총무님인 그런 노인대학입니다. 올해 이야기의 화두를 몇가지 소개하겠습니다. 첫번재 이야기는 '소고기 반근과 우지 2근반'입니다. 1년에 10번 가까운 제삿날이면 어머니는 막내아들에게 소고기 반근을 사오라는 심부름을 보냈습니다. 어적, 육적, 봉적을 올리는 제삿상에 닭한마리, 소금에 저린 조기한마리, 그리고 얇게 저민 소고기 반근이 필요한 것입니다. 제사 전날에 어김없이 면 소재지의 정육점을 다녀와야 했습니다. 아마도 첫번째 도전이었습니다. 처음으로 읍내까지 4km를 걸어와서 정육점에 들러 고기 반근을 청했습니다. 유난히 눈이 큰 사장님은 '고기는 냉장고에 있습니다'라는 아크릴 간판이 들어있는 진열장에서 칼과 창을 꺼내어 휙휙 칼날을 세운 후 고기한점을 베어네어 신문지에 포장합니다. 그리고 다른 냉장고를 열고는 흰 고깃덩어리를 듬뿍 잘라서 다른 신문지에 포장합니다. 고기반근을 사오라는 심부름을 왔는데 주문서에 없는 소기름을 듬뿍 주십니다. 그래서 고기만 받아들고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심부름을 다녀온 아들을 기다리신
봉녕사에서 108배를 올리고 우리 부부는 어제 다녀온 화운사로 달려갔습니다. 종무소에가서 불가 기부금 영수증을 받았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만남을 주선해 주신 가장 먼저 만남의 장을 마련해 주신 고모님과 고모부님을 추모하는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영가등"을 올렸습니다. 그리고 1951년 전사하신 삼촌을 추모했습니다. 불가에서 말하는 윤회라든가 인연이라는 것에 대해 깊은 성찰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우리의 삶속에서 만나고 헤어지는 이른바 회자정리, 거자필반은 윤회의 굴레속에서 끊임없이 반복된다는 생각을 합니다. 이 세상의 모든일이 다 인연속에서 불가에 완벽하게 귀의하지 못하여서 일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부처님 앞에 당도하는 성불의 길을 가기 위해 수많은 인간이 애쓰고 있지만 대부분은 아직도 윤회의 굴레속에서 수행을 하고 있습니다. 인간으로 태어났다가 강아지로, 송아지로, 나무로 태어난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108배를 통해 윤회의 길을 벗어나 열반의 길로 가고자 합니다. 정성을 다해서 부처님께 귀의하고자 노력합니다. 과거의 인연이 ‘만수산 드렁칡처럼’ 얼키고 설키고 이른바 갈등하는 모습으로 우리의 삶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을 털어내는 열반의
18명으로 시작한 병우회 회원이 14명으로 줄었나봅니다. 어제 모임은 10명 부부 20명이 가보정에서 저녁을 먹었습니다. 술잔을 크게 돌리지도 않았고 4명씩 앉아서 고기 구워먹고 냉면, 된장찌개에 밥을 먹고 각자의 차를 타고 집으로 갔습니다. 까마귀 떼가 그네를 타는 고압전선 아래 주차한 이oo 회원 부부의 차에 동승하여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회원님의 차를 세운 자리에 수원시청에서 설치한 프랑카드가 있습니다. 까마귀떼가 차량을 오염시킬 수 있음을 경고하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가보정 주변의 주차난으로 어렵게 확보한 자리이니 까마귀 똥 맞은 기념으로 로또를 사시라 했습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누군가가 예기치 않게 넘어지면 뻘쭘해 하므로 이 땅이 비싸다고 말합니다. 넘어진 자리의 땅을 사면 좋은 징조라는 의미입니다. 유럽에서는 옆 사람이 기침이나 재치기를 하면 '오 주여'하면서 주님의 강림을 축하하기도 합니다. 저녁을 먹으면서 살펴보니 아내의 건강으로 한 분이 못 나오시고 최근에 다른 회원의 아내가 아프시다고 합니다. 다른 회원은 아내의 직업상 함께 나오지 못하여 회원 탈퇴를 하시겠다고 완곡하게 장문의 편지를 단톡방에 올렸습니다. 개인사정으로 오래전에 물러난 분도
글을 쓴다는 것은 마음속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므로 보다 더 많은 분들의 공감을 얻어야 한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생각을 표현하는 공동의 무대위에서 열연하는 배우과 관객의 융합적 만남을 소설이라거나 시, 수필, 컬럼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신문에 글을 쓰는 것은 나의 생각으로 상대와 독자를 공감시키는 일이므로 공동의 주제를 택하고 거기에다가 현실에 맞는 논리를 펼쳐야 한다는 생각을 합니다. 최근에 경기일보에 올린 몇개의 글 중에서 특히 등산로 거리표기 방식에 대한 글은 제목부터 참 잘했다는자평을 합니다. 군청 등산로 담당자 전상서. 담당자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한 글입니다. 시작이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담당이 기안을 잘 해야 중간층에서 보강을 하고 최종 결재권자가 싸인을 함으로써 정책이 세상에 나오는 것입니다. 한자 말에 완벽이라는 글이 있습니다. 빌려온 구슬을 잘 쓰고 그 숫자와 품질에 瑕疵(하자)없이 반환했다는 말입니다. 完璧. 잃어버린 목걸이를 진품으로 사서 반환하고 열심히 일해서 갚았는데 빌려준 주인으로부터 그 당시부터 가짜 제품이었다는 말을 듣는 순간을 생각해 봅니다. 하지만 최선을 다한 것이라는 평가를 하고자 합니다. 삼국지를 초등학교 5학년
首丘初心(수구초심)이라는 말은 여우가 죽을때 고향 언덕을 바라본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고향을 그리는 마음을 표현한 것인데 많은 동물중에 여우가 고향언덕을 향한다는 표현에 동원된 이유는 아마도 잔재주가 많아서 고향에 대한 애정이 부족할 것이라는 점이 반영된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자신에게 이익이 되면 고향이라 자랑을 하고 불리하면 슬쩍 고향임을 감추는 어느 정치인의 행태를 비유한 것 같기도 합니다. 어느 국회의원 후보자는 이 지역에 장모님이 사셨던 곳이라고 말했습니다. 전혀 연고가 없는 지역에 출마하는 국회의원이 많습니다. 중앙당에서 전봇대 세우듯이 나름의 후보를 각 지역에 배분하기 때문입니다. 중앙집권의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그러다가 이제는 기초자치단체장도 불쑥 건물 옮기듯이 중앙에서 활동하던 분에게 공천장을 들려서 보내고 거시에서 당선되기도 합니다. 정치란 더이상 고향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할 수 있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요즘 방송에 자주 나오시는 100세 김형석 교수님 말씀중에 정치는 과정이고 수단이지 목적이고 결과가 아니라 하셨습니다. 그런데 가끔은 정치가 목표인양 잘못 인식되는 사례가 있다고말씀하십니다. 정치는 시민, 도민
안방에 수납장이 들어옵니다. 어제저녁에 벽 장식장을 교체하기 위해 정리했습니다. 33년 동안 함께 해온 장식장을 내보내고 새로운 서가를 들여옵니다. 목재 장식장을 철거하여 밖으로 내보내고 이를 재홀용으로 가져가는 비용이 5,000원입니다. 전에 시골에서는 그냥 화목으로 활용하였고 나중에 재를 걷어내면 그 속에서 고승 진신사리 찾아내듯이 못과 나사를 찾아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이 재를 밭에 뿌리니 더러는 김을 매다가 대못을 발견하여 다시 집으로 가져오기도 했습니다. 경기일보에 쓴 정승의 고철 저축은 아닐지라도 가끔은 시골 길가에서도 쇠붙이를 주우면 집으로 가져와 광속 나무박스에 담아 두었던 기억이 납니다. 별것 아닌 듯 보이는 쇠붙이가 어느 날에 임자를 만나면 적재적소에 활용된다는 점을 알기 때문입니다. 혹시 사람도 언젠가는 적재적소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하면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최근 청와대 개편이니 정부 개각의 소리가 들이니 일부 논공행상에서 소외돈 사람들이 그 기대감을 가지고 귀를 크게 세우고 전화기를 한번 더 들여다 볼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오늘 수납장이 들어오면 이런저런 소품들이 가지런하게 정리될 것으로 기대를 합니다. 그리하여 좀더 정리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