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6년이면 수십년 봄과 가을이 여름과 겨울속에 흐트러져 세월이 흐른 바이지만 당시의 기억이 생생합니다. 역시나 어제 먹은 점심메뉴를 다시 생각해 내는 데는 시간이 좀 걸려도 50년 세월을 견뎌온 유년의 기억은 참으로 생생하여 방금 마시는 '세븐업'사이다와 같습니다. 어쩜 그리도 기억이 생생할까요? 일단 당시에 소를 잡는 것은 '密屠殺(밀도살)'이라 해서 함부로 못하고 추석과 설날을 3-4일 앞두고 한밤중에 산기슭, 인적이 드믄 곳으로 소 한마리를 몰고 가서는 은밀하게 '거사'를 마무리합니다. 그리고는 자루와 포대에 고기와 뼈를 담아 家家戶戶(가가호호) 돌려 명절을 지낸 후에 대금을 거출하였던 것입니다. 배추장수 문서처럼 집집마다 배달한 3근, 5근, 앞다리, 뒷다리 값을 수금하면 되는 일이었습니다. 그리고 소의 머리는 작업에 참여한 젊은이들에게 무료로 배분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 또한 4등분, 8등분하여 가마솥에 고아서 국물 먹고 도토리나 청포로 만든 묵처름 흐믈거리는 고기는 베보자기에 둥굴게 말아 어처구니 없는 맷돌로 눌러서 물기를 뺀 후에 얇게 저며서 반찬으로 먹었습니다. 婚事(혼사)나 喪事(상사)시에는 키우던 돼지를 잡아 식재료로 쓰고 賀客(하객)과
솔직히 말해서 모기장안에 사람이 들어가는 것은 모양 빠지는 일입니다. 그러니 집안과 주변의 모기를 모두 잡아서 모기장에 가두어 두고 사람은 밖에 나와서 잠을 자는 것이 이치에 맞습니다. 강아지를 키우는 집을 보면 사람이 침대와 방안 한구석에 갇혀서 살고 있습니다. 온 집안 공간을 강아지 운동장으로 내주고 사람이 스스로 ‘슬기로운’ 收監(수감)생활을 합니다. 교도관도 마찬가지 입니다. 출퇴근은 자유롭다 하지만 근무하는 시간에는 감옥안 생활을 하는 것입니다. 늘 밖에서 잠긴 사무실 안에서 죄수들과 함께 생활합니다. 이는 마치 수능 출제위원들을 방안에 가두고 밖으로 잠그는 것과 같으며 冬安居(동안거)와 夏安居(하안거)에 90일간 수련을 하시는 스님들의 생활과도 같습니다. 스님들을 안에 들어가라 하고 밖에서 잠근 후에 하루 1식만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수련에 참여하시는 스님은 경력 20년 이상의 베테랑, ‘도가 트신’ 분들이라 들었습니다. 우리의 삶 속에 자신을 마음속에 가두고 있는 요소들이 더러 많이 자주 있습니다. 아침에 출근해야 하는 것도 규정이고 틀이지만 저녁에 퇴근하는 시간이 정해진 것도 형식과 격식입니다. 공직에서 오찬시간 준수, 출퇴근 준수는 불요합니다
엄청난 돈벌이 도둑질 이야기입니다. 즉 영화의 한 장면 같이 돈벌이를 하는 그림을 그려 보았습니다. 일단 고속도로를 달리는 하이패스의 IT머니를 모으는 방법입니다.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제는 구름다리처럼 만들어 3-4개 차선을 동시에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 기계를 만들어서 차량에 장착하고 고속도로를 달리면서 반대편 차선을 운행하는 하이패스 장착한 차량에서 1대당 1,000원씩 빼내는 기술을 제안합니다. 기술이 늘면 우리차를 추월하며 지나가는 차량에서 1,990원을 빼낼 수도 있습니다. 거듭 말씀드립니다만 이것은 하나의 재미있는 이야기일 뿐입니다. 이 기계가 경부고속도로를 6시간 달리면 서울에서 부산까지 430km 정도를 달리는 것입니다. 430km이면 430,000m이고 차량을 100m마다 5대를 만난다고 계산하면 21,500대를 만난다고 봅니다. 1,000원씩 계산하면 2천1백오십만원입니다. 하지만 도둑차량이 내려가는 속도가 시속 100km, 올라오는 차량 평균속도가 시속 100km이면 마주하는 속도는 200km 이므로 4배정도 배팅이 올라갑니다. 즉, 경부고속도로를 한번 내려가면 1억원, 올라오면 1억원으로 합 2억원이 됩니다. 다시 중부고속도로를 왕복 다
모기도 작은데 그 눈을 모으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모기의 눈을 모으려면 박쥐 동굴 바닥에서 박쥐의 배설물을 모은다고 합니다. 박쥐는 동굴에서나 풀섶에서 모기를 잡아먹게 되는데 이때 모기의 눈이 박쥐의 몸속에서 소화되지 않고 배설되니 이것을 모아 물에 불리고 선별하여 식재료인 모기 눈알을 얻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바닷가의 제비집은 해산물의 寶庫(보고)입니다. 진귀한 식재료가 된다고 합니다. 제비들이 바다에 나가 해초와 진흙을 물어와 집을 짓고 알을 낳아 새끼를 번식합니다. 해초와 진흙을 물어 제비의 침으로 반죽하여 집을 짓는 과정에서 어떤 화학적 변화가 긍정적으로 일어난다는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이는 일반 삼의 씨앗을 꿩 등 새가 먹고 소화시키는 과정에서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 조류의 배설물이 산속에 떨어져 30년 이상 긴 세월 동안 성장하면 효과가 일반인삼보다 수백배 높은 山蔘(산삼)이 된다고 합니다. 원숭이가 따먹은 커피콩이 반 정도 소화된 후 배설하면 이를 모아서 만든 커피가 세계 최고급이라는 말에도 공감을 하게 됩니다. 아마도 숙성과 화학전 변화의 과정에서 새로운 물질이 생성된다는 이야기입니다. 대규모 농장에서 한가득 열매가 맺히면 주변
주광덕 시장님께 드립니다! 저는 2016#2017년에 남양주시청에서 이석우 시장님을 모시고 공무원으로 근무한 이강석입니다. 공무원으로 근무한 2016년에 영화 '덕혜옹주'가 개봉되었는데, 간부들과 영화를 관람하고 소감문을 모아서 영화사 허진호 감독 등 관계자, 출연배우 손예진님, 라미란님, 박해일님에게 보냈습니다. 그리고 당시 공보과 용석만 과장의 노력으로 감독과 영화투자자가 시청을 방문하여 이석우 시장님께 감사인사를 했습니다. 당시 560만 관객은 큰 성과이고 남양주시 공무원이 기여한 바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시청을 방문한 영화사 일행을 덕혜옹주 묘역으로 안내하여 인사를 드렸습니다. 영화사 관계자가 모역을 방문하였다는 사실만으로도 영화에 대한 홍보효과가 있었으며 언론홍보를 통해 알려지면서 덕혜옹주 묘역 단체관람이 늘었습니다. 이에 구리시소재 왕릉관리사무소에서 27분 조선왕의 왕릉사진을 덕혜옹주 묘역 앞 산책로에 전시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유네스코유산 등록자료를 공개해주었습니다. 시민은 물론 인근의 학생들이 관람했습니다. 우리 역사를 이해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나비효과가 발생한 것입니다. 공무원들의 적극행정으로 남양주시의 홍유릉이 알려지고 덕혜옹
▣ 鰍魚湯(추어탕)과 川獵(철렵) 한겨울에도 얼지 않는 웅덩이가 있습니다. 논 한가운데 자리한 이 웅덩이는 어른키 하나 반정도의 깊이의 물이 한가득하여 얼지 않습니다. 오히려 흰 안개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주변의 논바닥은 온통 얼음판이어서 스케이드, 썰매를 탑니다. 물론 스케이트는 서울서 할아버지댁에 놀러온 아이들의 필수장비이고 시골 아이들은 철사줄로 미끄럼을 창조해낸 썰매를 탑니다. 어른들이 이 웅덩이 물을 퍼내고 그속 진흙에서 사는 미꾸라지(미꾸리)를 잡습니다. 타래박이라는 물통에 4줄을 매서 2줄씩 당기는 것인데 그 박자는 4/4박자입니다. 빨라도 느려도 안되는 물푸기 박자가 있습니다. 그만한 통속에 그만큼의 물이 들어차면 당기는 속도와 위로 던지는 힘에의해 마치 양동이 크기의 네모난 물덩어리를 옮기고 던지는 듯 보입니다. 즉 액체 중의 대표인 물이 한 방울 흐트러짐이 없이 이동되는 것입니다. 물바가지를 연결한 팽팽한 줄은 마치 줄이 아니라 막대인양 꼬임없이 내려가고 물을 담은 양동이 속의 물은 마치 어항속의 물인양 미동없이 올라옵니다. 서빙고 동빙고의 얼음 덩어리처럼 물이 올라옵니다. 그리고 웅덩이 주변 얼음판위에 던져진 후에야 자신이 물임을 깨닫고
수십년 전에 공업용 '우지라면'사건이 크게 보도되어 온 국민이 관심을 가졌던 일이 있었습니다만 공업용 우지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라 합니다. 屠畜(도축)과정에서 기름을 발라 낼때 공업용으로 쓸 요량으로 비위생적으로 관리하여서 문제가 된 것으로 압니다. 소를 도축하면 나오는 흰색 덩어리 기름은 식용이라기 보다는 공업용에 쓰이고 있다 합니다. 하지만 1970년대 우리의 시골 정육점(푸주간)에서 매주 강조하는 오늘의 표어는 "고기는 냉장고에 있습니다."라는 흰 바탕에 붉은색 아크릴 표찰입니다. 좋은 고기는 냉장을 해야 하니 쇼윈도우에 걸어두지 못합니다. 그러니 혹시 손님들이 고기가 떨어져서 없는 줄 생각하고 발길을 돌릴 수도 있으므로 고기가 많이 준비되어 있다는 의미의 아크릴 표찰을 내걸었던 것입니다. 증조할아버지 제사를 맞이하여 어머니께서는 초등생 아들에게 5km 걸어가서 다시 걸어오는 심부름을 보냅니다. 면사무소 인근 윤씨 정육점에 가서 소고기 반근(300g)을 사오라 하십니다. 말표 검정색 고무신을 신고 타박타박 걷고 걸어서 두고개를 넘어 면소재지 중심부에 자리한 정육점에 도착합니다. 소고기 반근을 주문하니 적꺼리냐 찌게꺼리냐를 물으십니다. 어머니 말씀대로
옛말에 처삼촌 벌초하듯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유교시절 처가를 멀리하던 사상과 세도정치에 신물이 났던바에서 생성된 말인가 생각합니다. 妻 三寸(처삼촌)의 묘를 벌초하는 사위가 흔하지 않을 것이지만 여건이 그래서 처삼촌 벌초를 한다면 지극정성으로 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처삼촌이면 아내의 작은 아버지나 큰아버지이니 나이 20대후반에 알게 된 분이거나 이미 아내를 만나기 전에 돌아가신 분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더해서 '외할머니 떡도 커야 사먹는다'는 애교섞인 속담이 있습니다만 동시에 외삼촌 소에서 남겨 먹지 않으면 남길 곳이 없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우선 외할머니 떡도 가격이 맞아야 구매한다는 말입니다. 친인척으로부터 납품을 받는다 해도 정품이 완벽하게 오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아는 사람이라 해도 납품이 제 때에 안되거나 품질이 떨어지면 언제라도 거래를 끊을 수 있을 것입니다. 안성맞춤이라는 말은 '안성유기맞춤'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과거 안성지역에서는 유기를 만드는 장인들이 많았습니다. 방자유기란 놋쇠와 합금을 두드려 얇게 펴고 이를 접시, 밥그릇, 국그릇 등 그릇을 말합니다. 한양의 사대부들이 딸을 시집 보낼때 안성 鍮器(유기)장인에게 필요한 만큼을 주문
아이들이 초등학교 1학년이거나 유치원 다닐때에 아내가 이것 저것 사고 싶다는 아이들에게 돈을 함부로 쓰면 안된다 하자 아들과 딸은 "엄마!!! 수협에 가면 누나, 언니가 돈을 줘!!!"했답니다. 아이들과 함께 수협에 가서 돈을 찾았는데 이를 본 애들이 은행에 가면 돈을 준다는 사실을 알아챈 것입니다. 그래서 엄마는 아이들에게 아빠가 돈을 벌어서 수협 통장에 넣어주어야 돈을 찾을 수 있는 것이라 알려주었다 합니다. 아빠는 이 이야기를 듣고 나서 가끔 아이들에게 5,000원씩을 주었고 아이스크림, 떡볶이 등을 사주었습니다. 모든 것을 엄마가 결정하고 사주고 먹여주므로 아빠는 밤늦게 술에 취해서 들어오는 귀찮은 아저씨가 되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에서 그리했습니다. 이후 현금자동인출기(ATM = automated teller machine)보고 이용하면서 이런 기계를 집안에 한대 설치하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내가 돈을 달라하면 이 기계에서 꺼내 쓰도록 하면 되겠다는 구상이었습니다. 아이들은 어려서 해외여행을 하면서 비행기를 탓습니다. 비행기에서는 식사, 간식, 음료등이 무료이므로 기분이 좋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어느날 KTX를 타고 부산을 가는 길에 두
강릉과 원주가 江原道(강원도), 충주와 청주가 忠淸道(충청도), 전주와 나주가 全羅道(전라도), 그리고 경주와 상주를 잇는 慶尙道(경상도)가 되었다. 경상북도 尙州郡(상주군) 공무원들이 상주가 되어 喪服(상복)을 입고 근무를 한다는 기사가 관심을 끌었다. 1965년 상주군 인구가 26만5천명이었는데 54년이 지난 2019년에 99,986명으로 10만선이 무너졌다. 그래서 상주군 공무원들이 인구 10만선을 지켜내자는 각오의 표현으로 상복을 입었다고 했다. 누구의 제안인지는 알 수 없다. 1978년 화성군청 소속 9급 공무원으로 비봉면에서 일했다. 추곡수매 담당자를 하였는데 그해 목표량이 18,532가마니였다. 산촌 2개 마을을 담당하였으므로 논비율이 적어서 목표량을 채우지 못했다. 부면장께서 '수매 담당자로서 자신의 목표량도 채우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어렵게 20가마니를 出荷(출하)독려를 하였지만 수분초과로 반품되었다. 그 벼를 2등급 가격으로 구매해서 건조하여 다음번 수매일에 검사를 받으니 3등급이 나왔다. 건조하니 18가마로 줄었다. 월급 50,000원의 2/3를 벼를 구매하고 말리는데 날렸다. 이번에는 부면장님, 재무계장님을 따라서 상주군으로 달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