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에서 얻는 교훈

식당에서 배우는 인생

며칠 전에 중년 부부가 운영하는 식당에서 두 집 부부가 점심을 먹었습니다.

 

주인장 와이프는 주방에서 생태와 코다리찜 2인분, 4인분을 찌그러져 수세미가 닿는 부분만 반짝이고 그 안쪽은 검정색이 남아있는 냄비에 담아 애벌을 끓여서 남편에게 인계하고 남편은 즉시 악어 입 옆으로 돌린 듯 보이는 집게로 번쩍 들어서 손님상에 배달해 줍니다.

 

12시 지나 들어간 식당에는 손님이 한가득이고 이미 식사를 마친 테이블을 정리하지 못 한 채 남자 사장 혼자서 홀 서빙하고 계산대에서 카드를 받고 친절하게 카드와 영수증을 건네는 모습을 보면서 장사는 이렇게 해야 잘 되는 것이라는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요즘 코로나19로 손님의 등락이 크다보니 종업원을 한 분 더 두지 못하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동시수용 20명 정도의 식당에서 종업원을 채용하면 한 달 인건비와 함께 발생하는 잘잘한 비용을 감당하기보다는 스스로 발품을 더 팔아서 이른바 박리다매(薄利多賣) 전략으로 가시는 듯 보이기도 합니다.

 

이 식당이 손님을 끄는 힘은 아내의 손맛인가 생각합니다. 국물과 반찬이 입에 맞습니다. 살짝 건조 후 볶아낸 듯 여겨지는 어묵조림의 식감이 기분을 좋게 합니다. 손님이 많아서 음식을 주문하고도 20분을 기다렸습니다.

 

우리는 기본 반찬이 도착하자마자 냉큼 집어먹었고, 방금 도착한 옆 테이블 부부 역시 우리 부부처럼 콩나물과 어묵, 나물을 연신 맛보면서 메인 메뉴인 ‘생태탕’을 기다립니다.

 

이윽고 가스불에 올려진 ‘생태탕’이 충분히 끓기 전에 파랗게 올려진 채소부터 건져 올려 앞 접시에 담아 먹었습니다. 특유의 거품을 일으키며 끓어오르는 ‘생태탕’의 국물을 맛보고 어두육미(魚頭肉尾) 머리 부분의 잘잘한 수육을 먹으면서 식사의 행복을 느껴봅니다.

 

최근 식사량을 줄여서 체중 관리를 하느라 신경을 써 왔지만 ‘맛있게 먹으면 0칼로리’라는 어느 방송광고의 카피를 인용하여 공깃밥 하나를 더 주문하여 두 남자가 반씩 먹으면서 남은 ‘생태탕’ 냄비를 기울여가며 챙겨 먹습니다.

 

남자 사장님 혼자 홀 서빙을 담당하므로 우리 스스로 마스크를 쓰고 주방 앞에 가서 '셀프 반찬'을 넉넉하게 추가하여 모두 다 먹었습니다.

 

잠시 후에 2부부 4인이 고구마밭 2두렁을 정리하고 맨손 삽질로 고구마를 수확할 예정이고 하니 평소 땅 일이나 운동이 부족하였던 바이므로 이참에 식사를 조금 더 늘리는 것은 당연한 권리이고 사전 준비작업이라 스스로에게 변호하는 바였습니다.

 

공깃밥 하나를 더 먹는 동안에 조금 늦게 할머니를 모시고 식당에 도착한 딸과 사위로 추정되는 3인상에서는 코다리를 주문했는데 국물이 나왔다며 당황해하자, 남자 사장님은 ‘코다리를 주문하시면 국물이 나갑니다’라고 안심을 시킨 후에 ‘국물은 서비스입니다’라는 멘트로 친절함과 여유스러움에 쇄기를 박습니다. 장사가 잘 되어서 남자 사장님의 마음속에 여유가 스며든 것일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이렇게 식당에서 맛있는 식사를 하면서 손님이 공깃밥에 빠진 파리를 ‘검정콩 껍질’이라고 아름답게 주장(!)하고 이를 날름 먹어버린 아름답고 숭고한 식당 종업원 사건을 떠올렸습니다. 이 직원은 손님의 격려와 사장님의 응원으로 훗날에 큰 식당을 꾸렸을 것으로 상상해 봅니다. 동시에 전날 방문한 큰 식당의 젊은 종업원 불친절 사례가 머릿속에서 사라지지 않는 안타까움을 겪었습니다.

 

마치 떴다방처럼 생겨먹은 식당인데 주인도, 종업원도 '친절'이라는 단어를 배우지 못한 듯 보였습니다. 그리고 십여 년도 넘는 과거에 어느 식당에서 목도한 또 다른 사건이 기억났습니다. 그날도 오늘처럼 식당에서 주문한 음식을 받아 식사 중이었는데, 잠시 후에 노인 두 분이 오셔서 음식을 주문하시고 연이어 도착한 젊은 남녀가 주문한 음식을 기다립니다.

 

그런데 나중에 온 남녀의 음식이 먼저 서빙되자 노인 중 한 분이 크게 화를 내십니다. 우리가 먼저 주문했는데 옆 테이블 음식이 먼저 나오고 왜 우리는 주지 않는가가 화나시는 이유입니다. 주인은 죄송하다 답할 뿐 설명도 변명도 하지 않았습니다.

 

잠시 후 노인 두 분의 음식이 서빙되었는데 그릇도 많이 동원되고 반찬도 다양합니다. 비전문가가 보기에도 시간과 공이 많이 들어가는 메뉴입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젊은 남녀의 식탁으로 눈길이 갔습니다. 아주 간단한 탕류입니다. 탁배기에 밥 넣고 국자로 두세 번 토렴(밥이나 국수 따위에 따뜻한 국물을 부었다 따랐다 하며 데움) 하여 내놓은 국밥이었습니다.

 

늦게 주문한 젊은이들의 식탁을, 노인들이 먼저 주문하신 반찬이 많은 식탁이 차려진 후에야 서빙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합니다. 식당에서조차 선입선출을 주장하는 것은 합법인가는 몰라도 합리적이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평생 드시는 식사인데 옆 사람보다 늦게 나온 것이, 나중에 주문한 식사가 몇 분 먼저 나온 일이 버럭 화를 내실 정도의 사건은 아니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그래서 식당은 밥 먹고 술 마시며 대화하고 사업 이야기를 하는 곳이라 생각해 왔습니다만, 더러는 타산지석으로 인생을 배우고 밥도 먹는 평생의 교실인가 생각합니다.

 

아침 태양이 뜰 것 '같아요'?

대략 20년 전부터 젊은 층에서 쓰는 말 중에 애매모호한 표현으로 ‘같아요’라는 말에 대해 마음속으로 늘 거부감이 있었습니다.

 

뉴스 인터뷰에 나온 젊은이들은 ‘벚꽃이 참으로 아름다운 것 같아요’라고 말합니다. 꽃이 아름답습니다. 주변과 어울려서 경관이 멋집니다. 확신에 찬 의지를 표현하는 용어를 썼으면 하는데 불확실하고 책임감 없는 표현입니다.

 

내일 아침 동쪽 하늘에서 태양이 떠오를 것 ‘같아요’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다음으로 일정 기간이 지나서야 그런 상황을 마주하는 경우에 ‘맛있는 고기를 먹어본 지 참 오랜만입니다’라는 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익숙했는데 요즘 대중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맛있는 고기를 안 먹어본 지 오래되었다’는 식으로 표현합니다.

 

외가에 안 간지 오래되었다고 합니다. '라떼' 세대여서인가, ‘외가에 다녀온 지 오래되었습니다’가 익숙합니다. 왜 긍정보다 부정적인 표현을 할까요.

 

10대 전후의 아이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더더욱 답답합니다. 엄마, 나 화장실 가면 안 돼요? 아주머니 여기 공깃밥 하나 더 주시면 안 되나요?

 

엄마와의 대화, 식당 등 다중이 함께하는 공간에서 간간이 들리는 아이들의 대화 내용도 답답함을 줍니다. 왜 안 되는가 물을까요. 엄마, 나 화장실에 가야겠어요.

 

아주머니 여기 공깃밥 한 그릇 더 주세요. 부드럽고 말하기 편하고 듣기에도 행복한 말이 있는데 왜 부정(否定) 적으로 안 되는가 질문을 할까요.

 

TV 예능 프로그램에서도 비슷한 말을 듣게 됩니다. 방송에 나오셨으니 신곡 한번 불러주시면 안 되나요? 가수가 자신의 노래를 예능 방송에서 부르지 못할 이유가 하나라면 불러야 하는 이유는 10가지가 넘을 것입니다.

 

그런데 왜 진행자가 다른 출연자들은 대본에 이미 노래를 시키기로 쓰여져 있는데 ‘신곡을 불러주면 안돼요?’라고 대화를 진행할까요.

 

식당에서 공깃밥 한 그릇을 추가하면 1,000원 정도가 추가됩니다. 식당 주인으로서는 한 그릇이라도 더 팔면 이득이 됩니다.

 

그렇게 돈을 내겠다는 의사를 가지고 주문하면서 왜 식당 주인에게 ‘공깃밥 한 그릇을 주면 안되는 이유’를 물을까요.

 

아이나 어른이나 엄마나 누구나 당연히 화장실을 가야 하는 것인데 왜 아이들은 엄마에게 ‘화장실을 가면 안 돼?’라고 질문을 할까요. ‘안돼요~’를 반복하면 ‘돼요~’가 된다는 조크가 있습니다.

 

혹시 아이들, 젊은이들이 ‘안돼요’라는 질문을 많이 쓰는 이유가 우리의 육아 방식에서 비롯된 것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엄마들은 아이들을 키우면서 긍정의 칭찬보다는 부정적 생각을 반영하여 안 되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반성해 봅니다.

 

지금 70세 전후의 장년들이 어렸을 때에는 전기가 없었고 차량도 귀했으므로 사회 전반에 위험요인이 적었다고 가정해 봅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부모들이 하루 24시간 아기를 돌보고 있습니다. 그러니 아기의 일거수일투족을 관리하고 위험요인을 제거해 줍니다.

 

유치원 다니는 자녀에게도 이런저런 위험상황에 대해 적극 케어하다 보니 늘 제재를 하고 통제를 하고 ‘안된다’는 말을 반복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어려서부터 ‘안된다’를 익혔고 그래서 되는지 안 되는지에 대한 질문에 ‘안되나요?’를 쓰는 것은 아닐지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아울러 엄마들이 ‘우리 아이는 치킨과 피자만 좋아한다’하시던데 닭백숙이나 김치전, 녹두전을 만들어 주지 않고 전화하면 금방 배달되는 피자와 치킨주문에 만 매달린 것은 아닐까 반성해야 한다고 봅니다.

 

우리 사회의 유통구조에서도 전화하면 발보다 빠른 오토바이 바퀴를 타고 달려오는 치킨, 피자 등이 앞서고, 70대가 어려서 익숙하게 맛을 익힌 닭고기 백숙이나 파전, 부치미 등은 냉장 포장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부정적 표현을 하지 말자는 말씀을 드리면서 사회자들에게 당부드리겠습니다. 행사에서 ‘회장님의 간단한 인사말’에서 '간단한'이라는 용어는 빼셔야 합니다.

 

그리고 ‘뒤늦게 오신 의원님을 추가로 소개합니다’라고 하지 마시고 ‘바쁘신 가운데 행사에 오신 의원님을 소개합니다’로 정제하여 표현하시기 바랍니다.

 

일부러 늦게 오신 것이 아니라 바쁘신 가운데 시간을 쪼개어 행사에 오신 고마우신 분이니까요.

안 본지 오래된 것이 아니라 마주 한지 오래된 것이고 공깃밥 추가할 수 있으니 '공깃밥 주시면 안 되는 것'이 아니라 당연히 됩니다.

 

예쁜 것 같은 것이 아니라 꽃이 예쁩니다. 공깃밥 하나 더 주세요. 멋진 노래를 불러주세요. 더 이상 불러주시면 ‘안돼요’라고 말하지 마세요.

 

 

이강석 (李岡錫)

출생 : 1958년 화성 비봉

경력 : 경기도청 홍보팀장, 경기도청 공보과장

         동두천·오산시 부시장 / 경기도균형발전기획실장

         남양주시부시장 /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현직 : 화성시 시민옴부즈만 

저서 : '공무원의길 차마고도', '기자#공무원 밀고#당기는 홍보#이야기' 등 수필집 53권 발간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이강석 기자

공직 42년, 동두천#오산#남양주 부시장, 경기도 실장,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역임// (현) 화성시시민옴부즈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