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요즘도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고위 관리가 임명될 무렵이 되면 각 언론에 하마평이 무성하게 오르내린다.

하마평이란 새롭게 관직에 오를 후보들에 대한 세간의 평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하마평의 기원이 재미있다.

예전에는 궁 앞에 모든 관리들이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글귀가 새겨져 있는 하마비(下馬碑)가 있었다. 군주가 머무는 곳이니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뜻이다.

이곳에서 관리들이 내려 궁으로 들어가고 나면 남은 마부들끼리 쑥덕공론을 시작했다.

“이번에는 ○○○나리가 판서가 된다네그려”  “예끼 이 사람아! 이번에는 우리 나리 차례야” 등등.

이렇게 하마비 앞에서 이루어진 세평이라고 해서 하마평이란 말이 생겨났다.

 

이 코너에서는 공무원 인사철을 앞두고 경기도에서 9급 공무원으로 시작해 동두천시, 오산시, 남양주시에서 부단체장을 역임한 이강석 전 부시장이 직접 겪은 인사철 에피소드 몇가지 조언들을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흐트러진 인사발령장

임용장, 홍길동님을 총무과 서무팀장에 임명합니다. 경기도테크노파크 원장!!! 공직이든 공공단체이든 인사발령은 깊은 관심이고 보람입니다. 발령장을 주는 기관장도 요즘에는 선거로 뽑히는 시장군수, 농협장, 수협장이니 상을 주면서 소통을 통해 다음번 선거를 기약하는 바이고 받는 이들도 승진을 하거나 좀더 기대되는 자리로 이동을 하는 발령이니 참으로 기분좋은 행사입니다. 그런데 발령장을 전달하는 행사는 관청이나 민간이나 참으로 과할 정도로 엄숙합니다. 왜 그런 전통이 형성되었는가 궁금할 정도입니다. 발령장, 임명장을 전달하는 행사인데 공직에서는 이른바 ‘사령교부’라고 합니다. 임명, 해임 따위의 인사에 관한 명령을 사령교부한다고 합니다. 이미 결정된 인사발령장을 전달하는 요식행위인데 이처럼 엄중해야 하는가 생각해 봅니다. 어쩌면 기관장이 결재한 인사결정을 전달하는 종이 한장을 교부하는 일에 엄격함이 존재해야 할까요. 초임시절 발령날이 발표되면 인사부서에서는 오후 2시에 발령장을 준다면서 1시까지 4층 회의실에 집결하라 합니다. 더러 먼 곳에서 오느라 늦는 직원이 있지만 인사부서 공무원들은 일찍 온 직원을 잡고 연습을 시킵니다. 도대체 A4크기 결재판처럼 생긴 판속에